식물 자원 보호 및 활용을 위한 국내외 연구 현황 및 내용
- 최초 등록일
- 2022.06.23
- 최종 저작일
- 2022.06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주제: 식물 자원 보호 및 활용을 위한 국내외 연구 현황 및 내용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식물 자원 보호 및 활용의 중요성
2. 생물권보전지역의 개념과 기능
3. 생물권보전지역과 식물자원에 대한 연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현대사회는 각종 개발과 과학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편리함이 증가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자연파괴와 환경파괴로 인하여 이상기후와 기후변화로 각종 질병이 늘어나고 있고 또 한편으로는 인구의 고령화와 기대수명의 증가로 인하여 만성질환자가 늘어나고 있어 다양한 치료약물과 예방약 등의 연구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식물자원의 보존과 활용은 현재 우리 인류가 처한 또 다른 위기인 질병위기를 해쳐나갈 수 있는 방법이며, 식물자원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생태보존지역의 확대는 환경오염과 파괴를 막고 생물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지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론에서는 식물 자원 보호 및 활용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이러한 식물의 자원 보호와 종다양성 보호를 위한 생물권보전지역에 개념 설명 및 이러한 생물권보전과 식물자원에 대한 국내 외 연구 현황 및 내용에 대하여 정리하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식물 자원 보호 및 활용의 중요성
지구상에 알려진 식물자원의 수는 약 50만 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인간이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은 약 3,000종, 현재 경작하여 이용하는 것은 30~100종에 불과하다. 식물종 중에는 뿌리나 꽃, 잎, 줄기 등을 다방면으로 인간 생활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자원 식물이라고 한다. 현대에 접어들면서 기상이변과 각종 질환의 발생 등으로 유전과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육종을 통하여 더 튼튼하고 병충해에 강하며 맛과 영양성분을 갖춘작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육종은 이 세상에 없는 식물을 인간이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교배를 통해 다양한 작물의 형질을 손에 넣는 일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육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식물자원의 유전자형을 보존하고 자연적 재배지역을 확대하여 생물종을 보존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환경의 보호의 차원에서도 식물자원보호구역이 늘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 자료
안태현 외, 「미얀마 유용식물자원 수집 및 전시 활용」,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 추계학술대회 pp.47-47.
김국환, 「광릉수목원의 약용식물 자원 조사」, 동덕여자대학원 약학과 생약학 전공석사학위논문, 2000.
김한주, 「제주도 약용자원식물에 관한 조사 연구」, 제주대학교대학원 생명과학과 박사학위논문, 2004.
원창제 외, 「위기에 처한 중국 약용 식물 자원의 보호」, 강수성 중국과학원 식물연구소, 생물학전문연구정보센터, 2002.
원종설, 비무장지대의 지속가능한 보전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