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일합일적 사유모델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22.05.13
- 최종 저작일
- 2022.05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천일합일적 사유모델의 이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천인합일론의 인식론적 고찰
Ⅲ. 천인합일론의 사유모델
1. 천인합일론과 천인상분론
2. 천인감응론 (제한적 대립과 제한적 통일)
Ⅳ. 결 론
본문내용
역사의 구분은 대부분 서양의 방식으로 이뤄진다. 예컨대 마르크스적 관점에서는 역사를 고대 노예제 – 중세 봉건제 – 근대 자본주의 그리고 사회주의로 발전 등으로 구분한다. 이를 ‘역사 발전 단계론’이라 한다. 이 역사 발전 단계론을 기준으로 중국 역사를 어디에 둘 것인지 대해 20세기 초반까지 활발한 논쟁이 있었다. ‘모든 땅은 왕의 소유’라는 왕토 사상에 의거해 중국의 농민은 토지를 갖지 못했다고 주장이 주를 이뤘다. 이 같은 역사는 헤겔에 의해 체계화되었고, 그들에 의하면 중국의 역사는 서양의 고대 사회 이전에 해당된다. 이러한 시각을 흔히 ‘서양 중심적 사고’라고 말한다. 역사의 기준을 ‘토지의 사적 소유권’으로 삼는다면, 색다른 사실이 눈에 들어온다. 서양에서는 근대사회에 이르러서야 가능했던 사적 소유권이 중국에서는 한대漢代에 이미 확립되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단지 소유의 의미를 넘어, 유학의 발전으로, 나아가 국가 운영의 한 축으로 귀결됐다.
참고 자료
박상환, 『동·서철학의 소통과 현대적 전환』, 상, 2010.
루즈이(陸致極), 김연재 옮김, 『명리학의 이해II』, 사회평론, 2018.
리쩌허우(李澤厚), 정병석 옮김, 『중국고대사상사론』, 한길사, 2005.
펑유란(馮友蘭), 박성규 옮김, 『중국철학사下』, 까치글방,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