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문 간호사의 도입 배경 / 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
어렵지만할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우리나라 전문 간호사의 도입 배경 / 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서론 - 우리나라 전문 간호사의 도입 배경 / 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Ⅱ. 본론 - 분야별 전문간호사의 특성 및 고유업무 ( 주요업무 , 교육과정 )
1. 가정전문간호사
2. 감염전문간호사
3. 노인전문간호사
4. 마취전문간호사
5. 보건전문간호사
6. 산업전문간호사
7. 아동전문간호사
8. 응급전문간호사
9. 임상전문간호사
10. 정신전문간호사
11. 종양전문간호사
12. 중환자전문간호사
13. 호스피스전문긴호사
Ⅲ. 결론 - 본인이 관심 있거나 원하는 전문간호사 및 이유 / 느낀점
Ⅳ. 참고문헌 - 논문, 기사, 기타
본문내용
서 론우리나라의 전문간호사 제도는 양질의 서비스를 원하는 의료소비자들의 요구와 독자적이고 자율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간호사들의 의지가 함께 맞물리면서 2000년대에 ‘분야별 간호사’를 ‘전문간호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2005년에는 ‘전문간호사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칙’을 제정하여 도입하게 되었다. 전문간호사 자격 분야는 2005년 가정 및 보건 2개 분야를 시작으로 2016년 현재 총 13개 분야(보건, 마취, 정신, 가정, 감염관리, 산업, 응급, 노인, 중환자, 호스피스, 종양, 임상, 아동)가 있다.
<우리나라 전문 간호사의 도입 배경>
- 의료소비자의 수준 높은 간호와 건강관리에 대한 요구도 증가
- 입원 환자의 중증도 증가
- 질병의 만성화에 따른 지속적 관리의 필요
- 보건의료 전공분야의 세분화와 전문화
- 외과계 등 전공의 지원 부족
- 보험재정 약화로 인한 전공의 훈련비 지원 삭감
- 전문직으로서의 직업적 성장 관련 단체의 노력 등
의료법의 ‘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전문간호사는 간호사 면허소지자로서 최근 10년 이내에 해당 분야의 간호실무 3년 이상의 경력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전문간호사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마치고 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와 외국의 해당 전문간호사 자격소지자로서 인증을 받은 자로 정의된다. 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은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 ‘교육과 상담’, ‘연구’, ‘리더십’, ‘자문 및 협동’으로서 분야별로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을 두어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고 있다.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
간호 실무와 관련 학문에 폭넓은 지식과 기술을 기초로 대상자에게 상급간호실무를 제공한다.
교육과 상담
환자, 가족, 간호사, 간호학생 및 타 보건의료인력 등 대상자에게 교육실시 및 보수교육과 실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며 수행한다.
연구
연구결과를 실무현장에 적용하고 간호 표준에 반영, 연구를 직접 수행하거나 임상전문가나 자문가로서 역할 수행한다.
참고 자료
박미미, 한숙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3년 3월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의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 https://www.jkachn.org/pdf/10.12799/jkachn.2013.24.1.51김경미, 최정실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Korean J Adult Nurs) Vol. 26 No. 1, 11-21, February 2014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11.pdf
임경민, 서지민 Global Health Nurs Vol. 4 No. 1, 37-47, January 2014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 분석 https://rins.pusan.ac.kr/sites/rins/pdf/4-1-5.pdf
이혜정, 허은주 , 김상희, 김기은, 서민정 Child Health Nurs Res, Vol.21, No.3, July 2015: 253-260 국내 아동전문간호사의 근무지 역할에 따른 직무수행과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 비교 https://www.e-chnr.org/upload/pdf/chnr-21-3-253.pdf
조 분 선 2018년 2월 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50c500359e467d99ffe0bdc3ef48d419
박찬형 (보건복지부) 대한종양간호학회 2002년도 제2회 춘계학술대회 한국의 암정책과 종양전문간호사의 역할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NPAP08084895&dbt=NPAP
이정희, 성영이, 이영희, 조용애, 권인각 임상간호연구 제13권 제3호 2007년 12월 중환자실 간호사 및 중환자 전문간호사의역할 규명을 위한 연구 file:///C:/Users/user/Downloads/KCI_FI001218668.pdf
이 희 정 , 오 복 자 투고일 2003년 4월 15일 심사의뢰일 2003년 4월 15일 심사완료일 2003년 11월 18일 호스피스 간호사 및 호스피스 전문간호사 수요추계에 관한 연구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35.pdf
윤 순 녕 산업전문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중 발췌 file:///C:/Users/user/Desktop/%EC%82%B0%EC%97%85%EC%A0%84%EB%AC%B8%EA%B0%84%ED%98%B8%EC%82%AC%EC%9D%98%EC%97%AD%ED%95%A0%EA%B3%BC%EA%B8%B0%EB%8A%A5.pdf
김영임 교육과정 기능 중 발췌 file:///C:/Users/user/Desktop/%EC%82%B0%EC%97%85%EC%A0%84%EB%AC%B8%EA%B0%84%ED%98%B8%EC%82%AC%EC%9D%98%EA%B5%90%EC%9C%A1%EA%B3%BC%EC%A0%95.pdf
이효정 기자 에튜인사이드 2019.11.21. 전문간호사' 자격증 취득 방법과 전문간호사 분야는? http://www.eduinside.kr/news/articleView.html?idxno=2655
홍승표 기자 2020.06.16 JOB지식 (27) '바이러스 감염 예방도우미' 감염관리전문간호사 http://www.job-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99
편집부 news@nursenews.co.kr
2021-10-01 / 최종편집일 : 2021-09-30
협신보 창간27주년 특집-10개 분야별 전문간호사
마취전문간호사 - 박 종 임(마취간호사회장)
보건전문간호사 - 이 인 숙(보건간호사회장
정신전문간호사 - 하 양 숙(정신보건전문간호사회장) 장 화 순(정신간호분야회장)
http://www.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61&idx=5770
국립중앙의료원 간호부 - 환자간호
가정전문간호사
가정전문간호사는 풍부한 임상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환자의 퇴원 전 준비 단계부터 시작하여 퇴원 후에는 환자의 집을 방문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의료 서비스는 물론, 교육 및 상담, 가족간호, 가정환경관리 등의 간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www.nmc.or.kr/nrs/main/contents.do?menuNo=600010
직업백과 / www.work.go.kr
가정전문간호사 - 교육·연구·법률·보건 보건·의료관련직 https://job.asamaru.net/%EC%A7%81%EC%97%85/%EA%B0%80%EC%A0%95%EC%A0%84%EB%AC%B8%EA%B0%84%ED%98%B8%EC%82%AC/#prospect
https://job.asamaru.net/%EC%A7%81%EC%97%85%EC%82%AC%EC%A0%84/%EB%B3%B4%EA%B1%B4%EC%A0%84%EB%AC%B8%EA%B0%84%ED%98%B8%EC%82%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