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협심증 간호과정, 협심증 케이스, 간호진단 2개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 최초 등록일
- 2022.04.19
- 최종 저작일
- 2020.12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소개글
"A+받은 협심증 간호과정, 협심증 케이스, 간호진단 2개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구조와 특성
2. 병태생리
3. 원인
4. 종류
5.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8. 간호
Ⅱ.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
1) 일반정보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진단검사
4) 임상검사
5) 약물
2. 간호과정
1) #1.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2) #2.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심장의 위치: 심장은 혈액을 혈관으로 내보내고 혈관계를 통해 혈류를 추진할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는 근육성 펌프이다. 무게는 약 250~300g으로 양쪽 폐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기관으로 2/3가 좌측으로 치우쳐 있으며, 횡경막 위에 위치하고 있다.
① Apex(첨단부): 좌측 제 5늑간 부위와 중앙 쇄골선이 만나는 곳. 대동맥, 폐동맥의 시작부위
② Base(심저): 제 3늑간 부위 위치, 상대 및 하대 정맥 유입되는 곳
2) 심장의 구성: 심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방마다는 판막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한다.
‣4개의 방
① 우심방: 신체를 돌고 온 정맥혈을 받는다.
② 우심실: 심실의 이완기동안 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들여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낸다.
③ 좌심방: 4개의 폐정맥으로부터 산회된 동맥혈을 받아 좌심실로 보낸다.
④ 좌심실: 좌심방으로부터 동맥혈을 받아들여 대동맥을 통해 혈액을 전신순환계로 방출한다.
‣판막
① 삼첨판: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
② 승모판: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
③ 대동맥판: 전신으로 피를 보내는 좌심실과 연결
④ 폐동맥판: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연결
3) 심장의 기능: 전신에서 환원된 혈액을 정맥계로부터 모아서 폐로 보내어 노폐물을 제거하고, 신선한 혈액을 펌프질하여 신체조직으로 운반하여 산소와 영양을 전달한다. (분당 70-100회 박동)
‣폐순환: 전신순환의 1/5 해당
① 우심방: 상·하 대정맥과 관상정맥동을 통하여 전신순환으로부터 돌아온 정맥혈을 받아서 심실이완기에 열린 삼첨판을 통하여 우심실로 내보낸다.
② 우심실: 우심방으로부터 유입된 혈액을 폐동맥 판막을 통하여 폐로 밀어내고 폐의 확산작용에 의하여 산화된 동맥혈을 좌우 2쌍의 폐정맥을 통하여 좌심방으로 보내게 된다.
‣체순환: 전신순환의 4/5 해당
① 좌심방: 폐순환으로부터 산회된 동맥혈을 받아서 좌심실의 이완기에 열리는 승모판을 통하여 좌심실로 보낸다.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p.262~632, 현문사, 서울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제 2판, p.288~292, 현문사, 서울
송경애 외(2019), 최신 기본간호학Ⅰ, p.261~263, 수문사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https://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