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산업의역사, 영화산업점유율
- 최초 등록일
- 2022.04.11
- 최종 저작일
- 2022.04
- 22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000원

목차
1. 영화관 산업의 역사
2. 각 영화사별 경쟁우위(CGV, 메가박스, 롯데시네마)
3. 가설 설정
본문내용
• 한국 영화의 성장과정 및 대표작
최초의 한국 영화 - 1919년 10월 27일 〈의리적 구투〉(義理的仇討, 1919,신극좌)
1920년대 초반 – 고전 문학 작품의 영화화 김영환 – 장화홍련전 ( 1924 ), 이경손 - 심청전( 1925 )
1930년대 - 스튜디오와 녹음 시설을 갖춘 제작사를 중심으로 영화 제작이 활발해짐
1940년대 초반 - 영화의 암흑기 ( 일제 정책에 의한 계몽영화의 양산 )1940년대 중반 – 광복,해방 영화 -> 최인규 - 자유만세(1946), 이구영 - 안중근 사기(1946) 등
1950년대 중반 – 영화 산업의 부흥 -> 이규환 – 춘향전(1955)
1960년대 초반 - 유현목 - 오발탄(1961), 김기영 - 하녀(1960), 신상옥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1970년대 - 영화 시장의 위축기 ( TV의 보급 및 경제적,사회적 경향 악화)
1980년대 초반 - 말초적 쾌락 추구에 몰두. 유현목 - 사람의 아들(1980), 임권택-만다라(1981)
1980년대 후반 – 사회 민주화의 분위기를 기반으로 현대적 감각과 정치적 사회의식 무장
1990년대 초반 – ‘기획 영화’의 등장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