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1. 우울감과 관련된 자살 위험성(계획&이론&중재 10개)
2. 우울로 인한 정서장애와 관련된 무력감(계획&이론&중재 15개)
3. 지속적인 우울과 관련된 만성적 자존감 저하 위험성(계획&이론&중재 13개)
전공책 참고하여 열심히 작성한 2021년 5월 자료입니다! 보다시피 중재 갯수가 10개 넘어갈 정도로 정말 고민하면서 열심히 작성했고, 그 결과 교수님의 칭찬과 더불어 좋은 결과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도움이 많이 돼셨음 좋겠네요 :)
목차
1. 대상자 사정
2. 문헌고찰
3. 약물보고서
4. 심리검사
5. 간호사정(주관적/객관적자료)
6. 간호목표(단기/장기목표)
7. 간호계획&이론적근거
8. 간호중재
9. 간호평가
본문내용
1) 주증상(Chief Complaint, C/C)
① depression
② suicide attempt
③ sleep disorder
④ anorexia (지난 한 달 동안 약 4.5kg 체중 감소)
⑤ headache, backache
recent onset : 2018년 본원에서 우울증 진단받았다. 같은 해 약물 과다복용으로 두 번의 자살 시도했으며,
남편이 발견하여 응급실 통해 입원하였다. 입원 후 약물치료 받았지만, 제때 복용하지 않았다. 복약 중단한 후
2년 후 호전 없이 점진적인 악화를 보였으며, 자살 시도하였다. 그 후 2021년 4월 2일 응급실 통해 동의 입원
하였다.
remote onset : 미술사가였지만 최근 몇 년간 우울증 때문에 일을 하지 못하였다.
2) 과거 병력 및 현병력(입원 동기)
미술가로 활동하였지만, 최근 몇 년간 우울감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였으며, 2018년 본원에서 우울증 진단받음. 같은 해 약물 과다복용으로 두 번의 자살 시도했으며, 남편이 발견하여 응급실 통해 입원함. 입원 후 약물치료 받았지만, 제때 복용하지 않음. 복약 중단한 후 2년 후 호전 없이 점진적인 악화를 보였으며, 자살을 시도함. 그 후 2021년 4월 1일 응급실 통해 동의 입원함.
3) personal history; 성인 후기(late adulthood 35~60세)
- 37세에 우울증 진단받음
- 37세에 약물 과다복용으로 두 번의 자살 시도로 인해 응급실 통해 입원함
- 39세에 자살 시도로 인해 응급실 통해 입원함
4) Family history (직계 3대까지 조사)
알 수 없음.
참고 자료
정신건강간호학(2019). 이미형 외. 현문사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2017). 김조자 외. 수문사
김동현, & 김형민. (2019). 여가활동이 수면장애 노인의 우울, 자존감,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9(1), 15-24.
김세주(2018). 급성기 양극성우울증 약물치료 전략.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6(4)
김지인, 권호인 (2019). 우울증의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38(4), 388-399.
김초롱, 이승환, 장혜인 (2018). 우울증 환자 집단에서 비자살적자해가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Clinical Psychology , 37(4), 465-478.
김희연, 한금선 (2019). 자살 고위험 입원환자를 위한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효과. 스트레스硏究, 27(3), 240-250
고용선. (2014).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성인 우울증환자의 우울, 자존감 및 희망에 미치는 영향 (Doctoral dissert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문희진. "우울증 환자의 자존감, 스트레스, 가족지지, 회복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서울
박민아. "정신질환으로서의 영적 마비 이해와 치유방안 고찰." 국내박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경상북도
박영희. (2017). 대학생의 우울, 자존감,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1), 101-116.
손재환. (2017). 대학생의 자존감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YCI] 청소년상담연구, 25(2), 299-317.
최혜림.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치료 중인 초기 정신질환자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의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 학교 대학원, 2018.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