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 기계공학실험 A 금속재료
- 최초 등록일
- 2022.01.03
- 최종 저작일
- 2021.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인하대학교 기계공학실험 A_금속재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내용 정리
2. 관찰 사진에 대한 평가
3. 고찰 및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내용 정리
① Fe-Fe3C 평형상태도
< 중 략 >
3) 고찰 및 결론
① 펄라이트(Pearlite)의 고유한 조직이 명확하게 관찰되었는가?, 그렇지 않다면 이유와 해결방안 제시
이번 실험에서의 펄라이트 형상은 아주 명확하게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원인을 분석해 보자면 첫 번째, 결정 내의 기포, 이물질 등의 불순물의 존재 이다. 이 때문에 펄라이트 형상이 명확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고 해결을 위해서는 좀 더 정밀한 연삭 및 연마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사람이 직접 연삭 및 연마과정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시료에 단차가 존재하여 금속 표면의 명확한 미세조직의 관측이 어려웠을 것이다. 기계를 이용해 연삭, 연마 과정을 진행시킨다면 좀 더 정확한 조직형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② 펄라이트(Pearlite)와 페라이트(Ferrite) 조직 구분이 잘 되었는가? 그렇지 않다면 이유와 해결방안 제시
실험결과 사진을 보았을 때 펄라이트와 페라이트의 조직 구분이 잘 된 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더 명확한 조직 관찰을 위해서는 배율이 보다 높은 현미경을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참고 자료
권오양 외 17인, 『재료과학과 공학』, 북스힐, 2016, 507p
김재도 외 11인, 『실무중심의 기계공작법』, 문운당, 2016, 20~34p
https://makersweb.net/me/1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