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활관리및실습 2주차 콩나물밥 시금치 토장국 화양적 새우전표고전호박전
- 최초 등록일
- 2021.10.21
- 최종 저작일
- 2018.03
- 9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식생활관리및실습 2주차 보고서 입니다.
콩나물밥,시금치,토장국,화양전,새우전,표고전,호박전 실습 후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
3.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
본문내용
콩나물밥
콩나물은 예로부터 두아(豆芽) 또는 두아채(豆芽菜)로 불려왔듯이 콩을 발아시킨 식품이다. 콩나물은 고려 고종 때 저술된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 대두황(大豆黃)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언제부터인지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콩나물밥은 충청도의 향토음식으로 토착화되어 뿌리를 내리고 있다.
콩나물
아스파라긴을 함유하여 피로 회복 및 숙취 제거에 좋은 식품이다.
토장국
된장으로 간을 맞추는 국은 고려시대부터 있었으나 토장국이라는 용어는 조선시대까지도 보이지 않다가 1930년대의 조리서에서 보이기 시작한다.
된장
된장은 콩을 주재료로 만든 발효식품으로 단백질의 공급원으로 높이 평가받으며, 된장을 넣고 끓인 토장국은 탄수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밥과 같이 먹을 때 부족한 단백질을 보충해 주는 효과가 있다.
시금치
엽산, 비타민 A · C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위장 정화, 빈혈, 치매 예방에 도움이된다.
화양적
화양적은 조선시대 궁중연회의 식단에 나온다. 종류는 각색화양적· 양색화양적· 오리알화양적· 낙지화양적· 천엽화양적· 양화양적· 어화양적· 동아화양적· 생복화양적 등이 있으며, 수라상 ·반과상· 진찬상에 오르는 음식이었다.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따르면 제사나 혼인에도 쓰였으며, 누름이 누름적 화양적을 같은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음식방문』에서는 화양적을 화양누르미라 적었다. 화양적은 18세기까지는 밀가루와 달걀이 사용된 누름적의 형태였던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각종 재료를 양념하여 익힌 뒤 색 맞추어 꼬챙이에 꿴 뒤에 육수에 잣을 갈아 넣은 잣즙에 적셔서 접시에 담는다.
전
기름을 두른 번철에 밀가루를 묻혀서 지진 음식의 총칭이다. 전유어(煎油魚) 또는 저냐라고도 하며, 궁중요리에서는 전유화(煎油花)라고도 하였다.
새우
고혈압 예방, 성장 발육 (칼슘과 타우린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고혈압 예방과 성장 발육에 효과적이고 키토산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참고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콩나물밥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0281&cid=46672&categoryId=46672
네이버요리백과 쿡쿡-콩나물효능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93021&mobile&cid=48180&categoryId=48248
한국민족문화대백과-토장국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0749&cid=46672&categoryId=46672
네이버 음식백과 파워푸드-시금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77180&cid=48180&categoryId=48248
한국민족문화대백과-화양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9009&cid=46672&categoryId=46672
두산백과-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9259&cid=40942&categoryId=32135
요리백과쿡쿡TV-새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93223&cid=48180&categoryId=48250
요리백과쿡쿡TV-표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93462&cid=48180&categoryId=48248
우수식재료디렉토리-호박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368481&cid=42776&categoryId=59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