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아동실습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급성인두편도염 A+
- 최초 등록일
- 2021.10.10
- 최종 저작일
- 2018.08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간호진단, 간호과정 2개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역학
4) 병인
5) 임상증상
6) 진단
7) 치료
8) 합병증과 예후
9) 예방
4. 간호사정
1) 일반 정보
2) 신체정보
3) 건강력
4) 진단검사
5) X-ray 및 특수검사
6) 약물
5. 간호과정
6. 참고문헌 문헌검색
본문내용
Ⅲ. 문헌고찰
1. 정의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에 의해 인두에 염증이 생긴 경우를 인두염이라고 한다. 주로 피로 및 과로, 열성질환, 과도한 온도 차이, 체질허약과 면역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질환 등으로 인해 발병한다.
상기도 감염으로 소아과 의사를 찾는 환자의 30% 정도가 인두통을 주된 증상으로 호소한다. 급성 인두염이란 편도염(tonsilitis)과 인두편도염(pharyngotonsillitis)을 포함한 인두의 감염 질환을 말한다.
2. 원인
바이러스가 가장 흔하고, adenovirus, coronavirus, enterovirus, rhinovirus, RSV, Epstein-Barr virus, herpes simplex virus, metapneumovirus가 원인이다. 세균은 A군 β-용혈 사슬알균(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us)이 흔하고, C군 사슬알균(특히 streptococcus equisimilis), 용혈성 아카노박테리아균(Arcanobacterium baemolyticum), 야토균(Francisella tularensis),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pneumonia), 임균(Neisseria gonorrboea), 방추상간균(Fusobacterium necrophorum),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가 원인이다. 인플루엔자균(H. influenza), 폐사슬알균(S. pneumonia) 같은 다른 세균들은 인두염에 걸린 소아의 인두에서 배양되기는 하지만 인두염을 일으키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http://sev.iseverance.com
박은숙 외(2014).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서울: 현문사.
김미예 외(2011). 아동의 성장발달과 간호. 서울: 군자출판사
김미예 외(2008). 아동의 성장발달과 간호. 서울: 군자출판사
홍창의(2014). 소아과학 제10판. 서울: (주)미래엔
기본간호학 상 / 양선희 외 5명 저 / 현문사 / 2007
기본간호학 하 / 양선희 외 5명 저 / 현문사 /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