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중국의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삼성의 성공과 실패 (경영학-마케팅 사례분석)

▪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마케팅 관련 수업 사례분석 자료입니다. ▪ 3C, SWOT, STP, 4P 등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다양한 도표와 그래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6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1.08.21 최종저작일 2020.10
16P 미리보기
중국의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삼성의 성공과 실패 (경영학-마케팅 사례분석)
  • 미리보기

    소개

    ▪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마케팅 관련 수업 사례분석 자료입니다.
    ▪ 3C, SWOT, STP, 4P 등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다양한 도표와 그래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목차

    1. 중국 스마트폰 시장과 삼성전자

    2. 표적시장의 선정 및 전략수립: 3C, SWOT 및 STP
    2-1) Segmentation: 중국 시장의 세분화
    a. 지리적 변수
    b. 인구통계학적 변수
    c. 시장 세분화
    d. 각 세분화된 시장 별 소비자의 프로파일링의 예시
    2-2) 3C분석 및 삼성의 SWOT 분석
    a. 삼성전자의 자사분석 (Company)
    b. 삼성의 경쟁자들 (Competitors)
    c. 프리미엄형 세분 시장과 해당 시장의 소비자 (Customers)
    d. SWOT 분석
    2-3) Targeting & Positioning: 표적시장 선정 및 포지셔닝, 삼성의 S-T전략

    3. 삼성의 마케팅 믹스(4P) 및 문제점: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의 실패와 그 원인
    a. Product: 차별점이 없는 제품, 약한 브랜드 파워, 뒤늦은 차별화 전략
    b. Price: 그럼에도 너무 비싼 가격
    c. Place: 복잡한 유통구조
    d. Promotion: 외부의 변화에 대처하지 못한 촉진관리

    4. 결론 및 스마트폰 시장에서 앞으로 삼성의 미래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중국 스마트폰 시장과 삼성전자
    지난 10년간 중국의 스마트폰 시장은 고도의 성장기였습니다. 2011년 7천만대의 출하량에서 시작해, 2012년에는 1억 8천만, 2014년에는 무려 4억 2천만대의 출하량을 달성했습니다. 2019년에는 출하량이 4억대 미만으로 내려가며 현재는 시장의 성장이 둔화되었지만, 지난 10년간 중국의 스마트폰 시장이 2G에서 3G, 4G로 변화하는 통신의 발전과 함께 성장한 거대한 시장이었다는 사실은 변함 없습니다. 한편 삼성전자 역시 지난 10년간 스마트폰과 모바일 기기 분야에서 한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높은 성과를 거둔 바 있습니다. 2020년 2분기에 잠시 1위를 내주었던 것을 제외하면, 삼성은 지난 10년 동안 스마트폰 글로벌 점유율 1위를 꾸준히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지난 10년간 쓴 맛을 보았습니다. 사실 처음부터 삼성의 중국 스마트폰 실적이 이렇게 저조했던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2010년 초반에 삼성은 당시 잘나가던 노키아를 제치고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점유율 1위를 달성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시장 점유율이 1%도 안 되는, 0%대의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실상 시장에서 잊혔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삼성이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근 10년 동안 삼성이 해당 시장 공략을 위해 택했던 주요 전략들을 살펴보고, 초반에 잘 나가던 삼성이 왜 실패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때문에 본문은 2020년 현재의 시장 상황과 삼성의 전략보다는, 주로 2010년대 초반, 중반의 상황을 위주로 서술하고 있음을 먼저 알려드립니다.)

    2. 표적시장의 선정 및 전략수립: 3C, SWOT 및 STP
    2-1) Segmentation: 중국 시장의 세분화
    Segmentation은 시장의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으로써, 기업이 자신의 표적시장을 선정하기 전에 해야 하는 선행 작업입니다. 기업은 세분시장별로 차별화를 통해, 자신의 제품의 강점을 알리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Canalys. “China’s smartphone market falls 14% in 2018, with just under 400 million units shipped” 「Canalys」
    · 이경탁. “삼성전자, 8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2%로 1위...화웨이와 격차 벌려” 「조선비즈」
    · 정용환. “갤럭시 0%대 점유율, 중국인이 삼성에 던지는 쓴소리” 「중앙일보」
    · 黄鑫. “2019新一线城市官方名单出炉:你的城市排第几?(附337个城市排名)”「第一财经」
    · 企鹅智库. “智能手机&智能硬件:2019中国网民购买力报告” 「腾讯新闻」
    · 이미래. “기회이자 함정인 중국시장, 현지 진출 40년 중국삼성 이상없나” 「뉴스핌」
    · 이희성. “애니콜, 중국서 잇따라 '최고 브랜드' 뽑혀” 「중앙일보」
    · 삼성반도체이야기. “[삼성 모바일 솔루션 포럼 2015] 중국 모바일 시장에 원스탑 부품 솔루션을 제공하다"
    · 박대한. “스티브 잡스의 애플..혁신은 계속된다” 「연합뉴스」
    · 윤예나. “좁쌀죽 먹으며 창업한 中 샤오미, 애플·삼성 위협 비결” 「조선일보」
    · 김현석. “[슈퍼차이나 혁신 기업을 가다] 매출 10% R&D 투자하는 화웨이…세계 모바일 네트워크 40% 장악” 「한국경제」
    · 이동현. “중국 스마트폰시장, 송혜교 송중기 기용한 VIVO OPPO 돌풍” 「뉴스핌」
    · 企鹅智库. “智能手机&智能硬件:2019中国网民购买力报告” 「腾讯新闻」
    · China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Tabulation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y County, 2010
    · 전준범 외 1인. “중국 스마트폰 보급률 90% 넘어…시장 6년만에 위축“ 「조선비즈」
    · 박순찬. “난공불락 日 뚫기 '작전명: 브랜드를 지워라'” 「조선비즈」
    · Felix Richter. “Samsung Takes the Lead in China's Smartphone Market” 「Statista」
    · Eileen Yu. “China rings up 420M smartphones in 2014, Xiaomi takes market lead” 「ZDNet」
    · 박은균. “2015년 중국 스마트폰 시장 결산 및 2016년 전망”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Counterpoint. “Chinese Smartphone Market: 2016 and 2017 overview” 「Counterpoint」
    · IDC. “China's Smartphone Market Dropped 7.5% in 2019 as Outlook for 2020 Remains Challenging Due to Coronavirus, IDC Reports”, 「IDC」
    · 이용표. “2000년대 노키아와 2010년대 삼성전자” 「한국경제」
    · 企鹅智库. “2017中国手机消费报告:一个重要拐点的来临” 「腾讯新闻」
    · 배인선. “중국 4G LTE 시대 도래...중국산 스마트폰 전세 역전?” 「아주경제」
    · 김외현. “중국 ‘갤노트7 일부만 리콜’ 결정에 부글부글” 「한겨례」
    · 한지훈. “삼성전자 갤노트7 사과에도 中 소비자들 불만 여전” 「연합뉴스」
    · 企鹅智库. “2017中国手机消费报告:一个重要拐点的来临” 「腾讯新闻」
    · 企鹅智库. “2017中国手机消费报告:一个重要拐点的来临” 「腾讯新闻」
    · 정옥주. “삼성전자 "국내 스마트폰 가격, 해외보다 비싸지 않아"” 「뉴시스」
    · 조상래. “[샤오미⑤] “고객의 기대를 뛰어넘어라. 팬덤 문화를 만들어라” 「머니투데이」
    · 이학렬. “[르포]최고 인기 샤오미폰…"영원한 1등 없다" 화웨이” 「머니투데이」
    · 박승찬. “중국 유통시장 함정에 주의하라③” 「한국무역신문」
    · 친민. “‘중국 딜레마’ 빠진 삼성, 돌파구 찾을까” 「이코노미인사이트」
    · 남윤선. “삼성, 中 유통망 대수술…휴대폰 직접 판매 늘린다” 「한국경제」
    · 이재철. “삼성 스마트폰 中점유율 `0%대` 또 추락” 「매일경제」
    · 한수진. “중국, 핸드폰시장 이대로 굳어지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홍장원 외 1인. “`차이완연합軍` 파워 힘입어 박리다매·애국소비로 돌풍” 「매일경제」
    · 임상범. “[월드리포트] "애국자라면 아이폰 쓰지 마라" - 中 환구시보” 「SBS」
    · 유효정. “삼성, 중국서 비호감 해외 브랜드 6위…롯데마트 8위 ‘사드 영향권’” 「매일경제」
    · 이한승. “삼성, 작년 남미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38% 압도적 1위” 「연합뉴스」
    · 고상민. “"2020년 세계 스마트폰시장…인도, 미국 제치고 2위"” 「연합뉴스」
    · 강동균. “'텃밭'에선 대접받는 화웨이폰…중국시장 점유율 역대 최고” 「한국경제」
    · 안별. “정체기에 들어선 세계 스마트폰 시장…해법은 신흥국·프리미엄폰“ 「조선비즈」
    · 임춘호. “인도 스마트폰 시장 7% 성장하며, 출하량 미국 시장 앞질러“ 「중소기업뉴스」
    · 김성민. “삼성폰 인도에서 3년만에 1위 탈환 反中정서 반사이익“ 「조선일보」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2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