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의 진흥에 관한 2017년 연차보고서”, 2017
· 구본권, “인공지능 기술 어디까지 왔나?”, 관훈저널, 재143권, 관훈클럽, 2017
· 김경환. “제4차 산업혁명과 법제도 개선방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전문가특강자료,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 김민수, 4차 산업혁명의 담론과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철학적 분석과 비판,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인공지능인문학연구, 2021
· 김상훈, “4차 산업혁명: 기본 개념과 사례”, 월간산업경제, 세종: 산업연구원, 2017
· 김상훈, “4차 산업혁명과 주요 국가별 전략 - 선진국 및 아세안(ASEAN)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 제2호, 한국국제협력단, 2018
· 김원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핵심 기술동향-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ISSUE REPORT 2017-03,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 2017
· 나영식, 조재혁, 인공지능(SW),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2018-16호, 2018
· 미래창조과학부,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수립 추진 대책”, 2016
· 박도훈, “제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AI)에 대한 미래교회 대응 방안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박종서, “4차 산업혁명과 가상화폐 블록체인“,KESSIA ISSUE REPORT 2017-03,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 2017
· 박진호,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에 따른 문제점 및 노동법적 쟁점 연구”, 법조 2017년, 제66권 제3호, 법조협회, 2017
· 배영임, 신혜리, “인공지능기술 융합 및 협력패턴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경기연구원, 2016
· 서상국ㆍ장세춘ㆍ김용삼, “제4차 산업혁명기 한국군의 군사력 건설 시스템 혁신 방향”, 국방정책연구, 제33권 제1호, 한국국방연구원, 2017
· 성욱준, 황성수, “지능정보시대의 전망과 정책대응 방향 모색”, 정보화정책, 제24권 제2호, 2017
· 안창원·황승구, “빅데이터 기술과 주요 이슈”, 정보과학회지, 2012
· 윤상오, 이은미, 성욱준.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책결정의 유형과 쟁점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21권 제1호, 2018
· 오호영,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취약계층 및 전공별 영향", Issue Brief, 제123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 우승국, “인공지능 미래 세상”, 월간교통, 한국교통연구원, 2017
· 윤종수, “ICT 환경의 고도화와 중립성 이슈”, 저스티스, 통권 제146-2호, 한국법학원, 2015
· 이경상,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핵심 기술동향 - 4차 산업혁명, 역동적 기회의 창이 열린다”, KESSIA ISSUE REPORT 2017-03,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 2017
· 이성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IP의 역할”,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 이윤정, 인공지능을 活用한 MICE産業의 變化와 트랜드 : 인공지능을 활용한 MICE산업의 변화와 트렌드에 관한 인식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 이은민, “4차산업혁명과 산업구조의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제26권 제15호, 2016
· 장필성, “[EU] 2016 다보스포럼: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우리의 전략은?”. 과학기술정책, 제26권 제2호, 2016
· 정분도, 홍미선, “4차 산업혁명의 주요국 현황비교에 따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9권 제3호,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8
· 조유리, 김성옥.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글로벌 벤처 생태계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7
· 주대영, 각국의 인공지능(AI) 선점을 위한 개발경쟁 실태 - 한·미·일·중을 중심으로, 산업경제분석, 산업연구원, 2017
· 창조경제연구회,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포럼보고서, 2016
· 최병록, “4차 산업혁명시대의 소비자이슈와 소비자정책”,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 최석현,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전략은?”, 이슈&진단, 제273호, 2017
· 클라우스 슈밥,『제4차 산업혁명』송경진 역. 서울: 새로운 현재, 2016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빅데이터 활용하여 도시 현안 해결 나선다.”, KISTI 소식, 20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공지능 기술과 산업의 가능성”, 2015
· 현대경제연구원,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시사점”, 2016
· 홍익희, “알파고 제로 이후, 인공지능은 친구인가, 적인가? 마크 저커버그 vs 앨론 머스크 대논쟁”, 조선Pub, 2017
· 황창근, “사물인터넷과 개인정보보호”, 법제연구, 제46호, 2014
· Frey, Carl Benedikt and Michael A. Osborne,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sation?, Working Paper, 2013
· Gershgorn, Dave, "How Google Aims To Dominate Artificial Intelligence", Popular Science, 2015
· Manyika, et al, A Future That Works: Automation, employment, and productivity, McKinsey Global Institute, 2017
· Meyer, J.-U, Digitale Disruption: Die Nächste Stufe der Innovation, Göttingen: Business Village, 2017
· Schmidt, E. and Cohen, J. “The new digital age, reshaping the future of people,” Nations and Business, 2013
· 総務省, “総務省における人工知能に関する取組と人工知能技術戦略会議の設置について”(平成28年4月26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