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Schizophrenia 간호과정, 간호진단
- 최초 등록일
- 2021.03.15
- 최종 저작일
- 2019.11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정신건강간호학 실습때 했던 조현병환자 가상케이스입니다.
가상케이스 대상자에 대한 사정자료,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우선순위에 따른) 있습니다.
목차
Ⅰ. 문헌 고찰
1. 조현병
Ⅱ. 사례 연구
1. 대상자 사정
1) 정신과적 병력
2) 발달력(Erikson의 발달과업을 비교하며)
3) 신체 사정
4) 정신상태 사정
5) 일상생활, 사회생활 능력평가
6) 가족체계
7) 대상자의 강점 및 약점
8) 임상병리검사
9) 임상심리검사
10) 의학적 진단명
11) 조현병 치료약물
12) 정신상태 사정목록에 따른 사정
2. 간호과정 기록
1) Problem list
2) Nursing Diagnosis List
3) 간호 수행 및 평가
Ⅲ.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조현병(Schizoprenia)은 심한 신경생물학적 부적응 반응으로 사고, 인지, 정서, 지각, 행동, 대인관계, 의욕 등 여러 측면에서 장애를 일으키는 뇌기능장애로 Schizo(분열)와 Phren(마음)의 합성어로 우리나라에서는 기존에 정신분열증이라고 번역하여 쓰다가 사회적 편견과 낙인의 문제로 인해 조현병으로 병명을 변경하였다. 조현병의 호발연령은 남성이 15~25세, 여성이 25~35세이다. 조현병은 발병 후 5년 이상 계속 되는 경우 완전한 회복을 기대하기 힘들고, 발병 후 회복하는 경우는 대개 2년 이내에 회복된다.
2. 원인
① 생물학적 요인
• 유전적 요인 : 쌍둥이 연구 결과 일란성 쌍둥이에서의 발생빈도(40~50%) > 이란성 쌍둥이에서의 발생빈도(9~15%), 한 쪽 부모가 조현병인 경우 자녀의 조현별 발병률(15%) < 부모 모두 조현병일 경우 자녀의 조현병 발병률(35%)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조현병의 발생빈도는 일반 인구에서보다 조현병 환자의 친척 중에서 더 높고, 가족관계가 가까운 친척일수록 더 높다.
• 신경화학적 요인 : 조현병 환자의 전두엽 대사와 기저신경절의 활동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과정에서 볼 때 조현병 환자는 건강한 사람보다 심상을 보유하는 기간이 짧고 지속적인 주의집중이 어렵다.
• 신경해부학적 요인 : 조현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뇌조직이 얇고 뇌척수액이 적은 것으로 발견되었고, 양성증상은 측두엽과 관련이 있고, 음성증상은 전두엽과 관련되어 있다.
• 면역학적 요인 : 사이토킨은 면역세포 사이의 화학전달물질로 염증과 면역반응을 중개하는 역할을 하여 특히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해 항상성을 유지하고 행동과 신경화학적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뇌의 신호를 전달한다.
② 정신사회적 요인
• 취약성 모델 :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취약성이 조현병의 특징이다.
• 대인관계 요인 : 조현병이 초기 대인관계, 특히 모자관계의 이상 때문에 발생한다고 본다.
참고 자료
양수 외, 『정신건강간호학 제 4판』, 현문사(2011)
고성희 외, 『정신간호 진단과 중재』, 수문사(2013)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2015)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2),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조현병 [schizophren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