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에서 2018년 2월 발표한 제4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의 내용을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1.01.26
- 최종 저작일
- 2021.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과목명: 평생교육경영론
·주제: 교육부에서 2018년 2월 발표한 제 4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의 내용을 정리
목차
Ⅰ. 서론, 평생교육이란?
Ⅱ. 본론
1. 2018년 2월 23일 제정한 제 4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의 내용
1) 성인의 자발적 평생학습 지원, 학습자 여건에 맞는 맞춤형 학습 지원
2) 다문화 가족 대상 문해 교육 프로그램 제공
3) 경력 단절 여성 대상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제공
4) 소외계층, 특히 장애인의 실질적인 평생학습을 접할 기회확대
5) 직업교육 이론 MOOC 강좌 개발
6) 매치업 프로그램 시행
7) 대학의 평생교육 기능 강화
8) 지역단위 평생교육 활성화
9) 지역 단위의 시민역량 강화
Ⅲ. 결론, 제 4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의 비전
본문내용
우리가 흔히들 일컫는 평생교육은 다른 4년제 대학교처럼 비싼 학비를 내지 않고도 동영상으로 강좌를 듣고, 공부한 후, 시험기간에만 특정 지역에 설립된 대학건물에서 시험을 치르고, 레포트를 제출하는 방송통신대학교와 같은 평생교육기관에서의 교육을 의미한다. 연령에 상관없이 노령인 80대라고 해도 입학해서 정규 교육과정을 밟듯 공부해서 시험을 치고, 4년 과정을 밟아 졸업할 수 있고, 졸업장도 4년제 정규 대학과 같은 졸업장을 받아 유용하다. 그래서 요즘 많은 주부들이 집에서 가사 일을 행하거나, 직장을 다니면서도, 남는 시간에 방송통신대학교의 교과목을 이수하고 있다. 내 지인은 50세에 방송통신대학교의 일본어학과 강의를 듣고, 얼마 전에 졸업했다. 이는, 재학 중인 4년 내내, 일반 다른 대학들에서 쓰는 서적과 다를 바 없는 두꺼운 전문 서적들을 학기마다 10권 이상 사서 공부하며 열정을 보였고 4년 동안 매 학기 치렀던 시험들에서 거의 만점을 받고, 양질의 레포트를 써 내서 졸업할 때에는 성적우수자로 뽑히기도 했다. 이는 졸업 후에도 같은 대학교 70세의 사업을 하는 사장님의 멘토가 되어 일정한 수업비용을 받으며 일본어와, 관련 역사 등의 여러 수업 이해를 도와주기도 하고, 레포트 쓰는 것도 도와주었다고 한다. 이렇게, 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한 이들은 사회에서 다른 중위권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이들에 비해 취업률도 좋다. 기업주들도 방송통신대학교가 들어가는 것은 쉬워도 전문적인 수업을 전부 소화해내고 졸업하기는 쉽지 않은 것을 알고 있어서 다수의 졸업생들을 채용해서 쓴다.
이렇게, 대학 정규과정을 밟듯 공부해서 학위를 얻는 방송통신대가 대표적인 평생교육기관이 된다. 하지만 요즘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대학에 입학하지 못하고, 돈을 벌기 위해 직업전선으로 바로 뛰어들어 여러 가지 실무교육이나 취미, 특기와 관련된 교육을 받지 못했거나, 초등학교 졸업도 제대로 하지 못해서 평생교육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생겨, 이들을 위한 평생교육기관들도 장려되고 있다.
참고 자료
고려사이버대, ‘매치업’ 프로그램 빅데이터 분석 교육과정 개설
-2019.11.27., 베리타스 알파-
K-MOOC 올해 170개 강좌 신규 개발…AI 중점 -2020.02.19., NEW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