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의 문제 A+] 일제 잔재 친일파 청산 문제에 대한 분석
- 최초 등록일
- 2021.01.11
- 최종 저작일
- 2021.01
- 31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000원

소개글
"[현대사회의 문제 A+] 일제 잔재 친일파 청산 문제에 대한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해방직후 남북한의 상황
2. 일제 잔재의 구조적 청산
1) 건물,유적 -독립문과 서재필
2) 건물,유적 - 동작동 국립묘지에 살아 숨쉬는 친일파(이갑성, 백낙준)
3) 언어 - 우리말 속 일본어
4) 교육
3. 친일파 청산의 역사
1) 해방 직후의 북한의 친일파 청산
2) 해방 직후의 남한의 친일파 청산
3) 반민특위(전개, 활동, 결과, 원인, 평가)
4. 토론해 봅시다
본문내용
해방직후 남북한의 상황
한반도가 다시 한민족의 품에 돌아 왔다
1945년 8월 15일 우리 겨레는 일제의 식민 통치에서 해방되었다.
동포를 잡아 가두고 고문하면서 권력을 휘두르던 일제의 앞잡이들, 일제 에 협력하면서 많은 돈을 모은 자본가들, 소작인들의 피땀으로 부귀를 누리던 지주들은 재빨리 피신하거나 두려움에 떨면서 상황 변화를 지켜 볼 수밖에 없었다.
감격과 희망 속에 새 나라를 세우기 위한 활발한 움직임이 곳곳에서 일어났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은 패전국 일본의 식민지인 조선을 관리한다는 명목으로 북위 38도선 남과 북에 군대를 보냈다.
참고 자료
허종, 《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친일파 청산, 그 좌절의 역사》선인, 2003
이강수, 《반민특위연구》나남출판, 2003
정운현, 《증언 반민특위-잃어버린 기억의 보고서》삼인, 1999
정철용(전 반민특위 조사관), 《회고록》(초고)
KBS 인물현대사, <미완의 역사, 친일청산 - 반민특위 김상덕>, 2009
KBS 특별기획 한국사화를 말한다, <역사는 어떻게 청산되는 가>
민족문제연구소, 《한국 근현대사와 친일파 문제》아세아문화사, 2000
민족문제연구소 http://www.minjok.or.kr/
네이버 이미지 www.naver.com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