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배우는 AVR ATmega128 마이크로컨트롤러 5장연습문제
- 최초 등록일
- 2020.12.06
- 최종 저작일
- 2020.03
- 3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1. Atmega128의 I/O포트는 몇 비트인지 쓰고 I/O포트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2. Atmega128의 I/O포트 내부 풀업에 대해 설명하시오.
3. Atmega128의 I/O포트의 레지스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시오.
4. 아래 코드의 주석을 보고 괄호안을 16진수로 채우시오.
5. 포트 A에 16진수 데이터를 EC를 출력하도록 아래 코드의 괄호 안을 채우시오.
6. 포트 C에 16진수 데이터 8A를 출력하도록 아래 코드의 괄호 안을 채우시오.
7. 포트 E로부터 데이터를 리드하도록 아래 코드의 괄호 안을 채우시오.
8. LED의 동작(점동 및 점멸)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9. FND에 대해 설명하시오.
10. FND 회로에서 FND S0에 16진수 c가 표시되도록 아래 괄호를 채우시오.
12. FND회로에서 FND S1, S2에 16진수 5가 표시되도록 아래 괄호를 채우시오.
본문내용
02. Atmega128의 I/O포트 내부 풀업에 대해 설명하시오.
- 핀에 내부 풀업 저항(Rqu)과 Vcc 사이에 FET와 연결되어 있어서 FET스위치 온/오프에 의해 풀업 저항 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 포트 핀의 구동 전류만 으로도 LED구동이 가능하며, 포트 핀에 연결되는 부하가 큰 경우는 핀 외부에 적절한 풀업 저항을 연결해주면 된다.
04. 아래 코드의 주석을 보고 괄호안을 16진수로 채우시오.
DDRA = (0b00001111); // PA7~PA4 입력, PA3~PA0 출력 설정
DDRA = 0x0f;
DDRA = (0b11110000); // PA7~PA4 출력, PA3~PA0 입력 설정
DDRA = 0xf0;
DDRA = (0b01010101); // PA7, PA5, PA3, PA1 입력, PA6, PA4, PA2, PA0 출력 설정
DDRA = 0x55;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