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은행 중급재무회계 과제
- 최초 등록일
- 2020.12.05
- 최종 저작일
- 2020.09
- 2페이지/
MS 워드
- 가격 3,000원

소개글
"학점은행 중급재무회계 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충당부채의 정의
2. 의제 의무, 정당한 기대 제시
3. 부채의 정의 및 주제에 대한 답
Ⅲ. 결론
본문내용
최근 금융회사들이 비이자 부문 확대에 수반되는 리스크 요인을 소홀히 검토하여 라임 무역금융펀드 사건과 같은 불완전 판매를 초래하여 이슈가 됐다. 특히 여기에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위원회가 라임 판매사 4곳에 손실액 100% 배상 권고안을 내리면서 판매사들은 최초로 펀드 피해 전액을 투자자들에게 배상하게 되었다.
뉴스 기사로 이러한 소식을 접하면서 펀드를 판매했던 금융회사 4곳이 저마다 선제적으로 2020년 올해 상반기 일찌감치 사모펀드 배상 건 등을 감안해 미리 회계장부 상 충당부채로 잡아 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통상 기업들은 잠재적 부채 가운데 예측 가능해 지급 가능성이 큰 경우 충당부채로, 예측 불가능해 이행 가능성이 적은 부채는 우발부채로 인식한다. 이들 금융회사들도 불완전 판매에 따른 배상을 미리 예측하고 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충당부채를 설정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왜 기업은 이러한 배상을 위한 자금을 ‘부채’라는 항목으로 설정하는 것일까?
참고 자료
K-IFRS 1037호, 일반기준 14장, ㈜조세통람
라임 100% 보상, 신한∙하나∙우리 하반기 실적 어쩌나?, CEOSCORE DAILY, 2020년 8월 31일 (http://www.ceoscoredaily.com/news/article.html?no=72741)
박종하, 2019, 재물손해사정사 회계학, ㈜고시아카데미
이승준, 이주삼, IFRS 재무회계, 와이낫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