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실습, ER실습] 응급실에서 사용하는 응급약물정리, 실제 응급실에서 응급카트 보고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0.11.12
- 최종 저작일
- 2020.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Dopamine
2. Digoxin
3. Amiodarone
4. Adenosin(adenocor)
5. Nitroglycerin
6. Lidocaine
7. Verapamil(isoptin)
8. Heparin
9. Epinephrine
10. Etomidate lipuro
11. sodium bicarbonate
12. Atropine sulfate
13. Norpin
14. Cortisolu
15. Vecaron
본문내용
Dopamine
강심제
① 심근경색, 외상, 내독성패혈증, 수술후 및 신부전으로 인한 쇼크, .울혈성 심부전에 의한 만성심대상부전증, 핍뇨, 무뇨증,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및 기타 순환장애에 사용한다.
① 1분 동안에 체중 킬로그람당 2-5mcg 되도록 정주한다.
① 중증인 경우 : 1분동안에 체중 킬로그람당 5-10mcg에서 20-50mcg까지 증량하여 정주할 수 있다.
① 도파민을 투여하기 전에 혈액이나 혈장을 투여하여 정맥압이 10-15cm H2O, 폐입압이 14-18mmHg가 되
① 도록 한다.
① 1분동안에 체중킬로그람당 50mcg 이상 투여시는 뇨량 검사를 자주 해야 한다.
① 과용량 투여하여 혈압이 급상승 하였을때는 투여율을 감소하거나 일시적으로 투여를 중단하여, 회복되지 않을
① 경우 펜톨아민 같은 α-교감신경 차단제를 투여한다.
① 정주할 때는 250밀리리터나 500밀리리터의 용액에 희석하여 사용한다.
Digoxin
강심제
울혈성심부전(폐부종, 심장천식 등 포함) : 판막질환, 고혈압, 허혈성심질환(심근경색, 협심증 등), 선천성심질환, 폐성심(폐혈전, 색전증, 폐기종, 폐섬유증)에 의한 것, 심방세동·조동에 의한 빈맥, 발작성심방성빈맥, 기타 심질환(심
막염, 심근질환 등), 갑상선기능항진증 및 저하증, 심부전 또는 각종 빈맥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투약한다.
성인
급속 포화요법(포화량 : 1.0-2.0㎎) : 디곡신으로서 1회 0.25-0.5㎎을 2-4시간마다 정맥주사하고 충분한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한다.
완서 포화요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지요법 : 1일 0.25㎎을 정맥주사한다.
소아
급속 포화요법
신생아, 미숙아 : 1일 체중 ㎏당 0.03-0.05㎎을 3-4회 분할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참고 자료
가천대 길병원 의료정보 응급처치 https://www.gilhospital.com/information/mio/mi01_board_view.html?board=healthInfo_emg&seq=455
부정맥의 약물치료 이화여자대학교 내과학교실 순환기내과 김종운 대한내과학회지 제71권 제5호 2006
부정맥(1) : 심방세동 환자의 증상조절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곽혜선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성인간호학Ⅰ, Ⅱ 고자경, 김정아, 홍정주 외 공저 퍼시픽북스 2017. 03. 02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허혈성 심질환(1)-안정형 협심증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곽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