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간호학 정신보건, 정신건강복지법, 정신보건법률 리포트
- 최초 등록일
- 2020.11.04
- 최종 저작일
- 2020.10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지역간호학 정신보건, 정신건강복지법, 정신보건법률 리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정신보건 정의
2. 정신보건 이슈
Ⅱ. 본론
1. 정신보건현황
2. 정신보건사업
Ⅲ. 결론
1. 보건의료정책
1). 정신건강복지법 정의
2). 정신건강복지법 개정
3). 정신보건법률
2.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신보건 정의
정신장애인의 치료뿐만 아니라 국민정신건강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생물학적·의학적·교육적·사회적 면에서 협력하여 보다 더 좋은 인간관계를 이룩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정신건강운동은 프랑스의 P.피넬(1745∼1826)이 시작하였다. 그 때까지만 해도 정신장애인는 하느님의 버림을 받은 사람 또는 악마가 붙은 사람이라 하여 수용소에 강제로 가두어서 쇠사슬로 묶어 놓았던 것을 피넬은 정신이상도 병의 한 종류라고 주장하여 쇠사슬을 풀어준 데서 정신운동이 시작된 것이라고 전해진다.
정신장애를 일으킨 환자는 오랫동안 편견과 경멸의 대상으로 여겨져 왔으나 문화의 발달과 인권존중사상의 보급, 경제성장에 따라서 그런 환자를 정신병원에 입원시킴으로써 격리와 치료를 받게 하는 일이 일차목표였지만 차차 개념이 달라졌다.
말하자면 정신병원 내에서의 정신건강문제부터 사회 전체가 정신위생의 인식을 달리하여 예방문제를 생각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서 이런 환자의 치료와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사회 전체가 참여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갔다. 나라에 따라서 활동양상은 다르기는 하지만, 요약하자면 환자의 조기발견과 입원치료, 퇴원 후의 후속치료, 환자의 처우개선, 가족에 대한 사회지원, 직업교육문제보다도 예방문제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가 단위로 되어 정신병원의 설립, 가급적 단기입원, 조기퇴원환자를 곧 바로 가정으로 복귀시키기 전에 중간사회시설을 거치는 동안 차차 적응능력을 얻도록 하는 방도와 이에 필요한 보건기구를 통합하며, 학교나 기업·교도소·경찰 등의 정신의학적 카운셀링 문제, 가급적 통원치료를 받게 하거나 또는 낮이나 밤에만 입원시키는 낮병원·밤병원의 운영 등을 고려하게 되었다.
정신병원 내에서 환자와 정신과 의사들만의 정신건강문제로부터 차츰 진보하여 사회학 ·인류학 등과 연관을 가진 정신의학으로 변모함에 따라서 이 문제의 해결과 예방을 위해서는 환자와 의사는 물론 사회와 직장·기업체·법률가·심리학자·사회사업가·종교가·보건원 등이 합심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참고 자료
임숙빈 외 /정신간호학총론/ 수문사/ 2017년
김춘미 외 /지역사회보건간호학I/ 수문사/ 2017년
김춘미 외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Ⅱ/ 수문사/ 2017년
http://www.mohw.go.kr/react/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330405&PAGE=5_6
보건복지부/ 정신보건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55342
뉴스기사/ 가정폭력 시달리다 남편 살해한 아내 집행유예 /메디컬투데이/신현정
http://news1.kr/articles/?3627115
뉴스/ 술만 마시면 폭력 남편 살해한 아내 ‘집유’ "알코올 중독 경각심"/울산=뉴스1/김기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