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STEMI 케이스스터디 (심근경색)
- 최초 등록일
- 2020.08.10
- 최종 저작일
- 2019.11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STEMI 케이스스터디 (심근경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Ⅱ. 문헌고찰: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 3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3
2. 질병의 병리기전 3
3. 진단방법 3
4. 증상 4
5. 치료 4
6. 예후 4
7. 문헌고찰 내용과 사례환자 접목시키기 5
Ⅲ. 간호과정 5
1. 간호사정 5
1)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사정도구 5
2) 진단적 검사 9
3) 치료 및 간호 12
2. 자료 분석 및 간호진단(우선순위별로 정리) 14
3. 간호과정 15
Ⅳ. 결론 18
부록 19
본문내용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08년부터 2018년까지의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 조사에 의하면 허혈성 심장질환이 인구 10만 명당 28.3명으로 암 환자의 사망률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이며, 단일질환으로는 가장 높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10년간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서 앞으로 중요한 보건학적 문제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와 간호가 있으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기에 후에 임상에 나가 더 전문적인 치료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이 연구를 진행하려고 한다.
Ⅱ. 문헌고찰: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
1.질병의 정의 및 원인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혈전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으로 발생하는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과 관상동맥의 부분 폐색 등으로 발생하는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심장발작이라고도 한다.
주 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판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드물게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도 발생된다.
2. 질병의 병리기전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완전히 막히면 허혈 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가 시작된다. 심근경색부위의 형태학적 변화는 폐색된 후 시간경과에 따라 다르며 첫 12시간까지는 괴사된 심근조직이 육안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인다. 18~24시간이 지나면 육안으로 괴사부위를 식별할 수 있고 적갈색의 심근이 빈혈을 일으켜 회갈색으로 변한다. 괴사층의 병리적 소견은 심근허혈의 정도에 따라 외층의 허혈층과 중간층의 심근 손상, 완전히 혈류가 차단된 중앙부위의 괴사층을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통계청. 2018년 사망원인통계
박은지 외.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증상클러스터(한국간호과학회, 2015). 378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원종순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