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A+ 방문건강 관리사업과 방문간호사의 역할
- 최초 등록일
- 2020.07.30
- 최종 저작일
- 2020.05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A+맞은 자료입니다.
방문건강관리사업과 방문간호사의 역할
목차
Ⅰ.방문건강관리 사업
1.1 사업 목적
1.2 사업 내용
1.3 건강관리 서비스 내용 및 제공 과정
Ⅱ. 방문간호사의 역할
2.1 간호사의 역할
2.2 가정 방문 활동
2.3 방문 시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본문내용
1. 방문건강관리 사업
방문건강관리 사업은 보건 의료 전문 인력이 지역주민의 가정 또는 시설을 방문하거나 보건소 내 및 지역사회의 제반 시설 등을 이용하여 건강문제를 가진 가구 및 가구원을 발견하고 건강증진, 만성질환 등 질병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적합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의뢰·연계함으로써 가족과 지역주민의 자가 건강관리능력을 개선하여 건강수준을 향상시켜주는 포괄적인 사업이다. 방문건강 관리 사업은 건강형평성 제고와 취약계층 건강수명 연장이라는 비전에 따라 취약계층의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건강인식 제고와 자가 건강관리 능력 향상 및 건강상태 유지 및 개선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찾아가는 서비스 인력의 확충, 지역사회의 연계 및 보건소 부서 간 연계를 강화하는 접근 전략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1.1 사업 목적
방문건강 관리 사업의 목적은 취약 계층의 건강 인식 제고, 자가 건강관리 능력 향상, 건강상태 유지 및 개선에 있다.
1.2 사업 내용
① 사업 대상: 사회 · 문화 · 경제적 취약계층 중 건강위험군, 질환군을 대상으로 보건소 방문건강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자를 지자체에서 선정
예) 다문화가족, 북한이탈주민, 독거노인, 지역아동센터(빈곤 아동), 청소년 쉼터 또는 미인가시설, 보건소 내 타부서 및 지역사회 기관으로부터 방문이 필요하여 의뢰된 자 등
* 장기 요양 등급 판정자 제외
② 방문 요구에 따른 군 분류
방문 간호사가 1~3회 초기방문에서 대상 가구원의 건강위험요인, 건강문제와 증상 조절 여부 등을 조사하여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건강 문제 및 건강 위험요인 보유 유무에 따라 보건기관통합 정보 시스템에 입력하여 군분류를 실시한다. 건강위험요인 및 건강문제가 있고 증상 조절이 안되는 경우에는 집중 관리군, 건강위험요인 및 건강문제가 있고 증상이 있으나 조절이 되는 경우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