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간호학 실습 과제, 건강증진사업 ,금연관리실 (금연클리닉) 문헌고찰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0.10.07
- 최종 저작일
- 2020.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영혼을 갈아넣은 건강증진사업 금여클리닉 문헌고찰 레포트입니다.
교수님 피드백까지 마치고 수정한 최종본입니다.
참고하셔서 케이스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I. 사업분야
II. 사업내용
1. 정의
2. 목적
3. 사업종류
4. 시압대상자
5. 사업방법
6. 사업평가
III. 보건소 및 보건진료소 간호사의 역할 및 업무
본문내용
■ 사업분야 : 건강증진사업(금연클리닉)
■ 사업내용
1. 정의
금연클리닉이란, 지역사회 중심 금연지원서비스의 일환으로 전국 254개 보건소를 통해 지역사회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실천을 유도하여 흡연율을 감소시키고 건강증진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금연상담서비스(금연 보조제 및 행동강화물품 지급, 전문의약품 처방 등)를 제공하는 기관을 의미
2. 목적
흡연의 예방과 흡연자의 금연, 그리고 금연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흡연율을 낮추고 비흡연자를 보호함
- 현재 유성구의 흡연 관련 현황
3. 사업종류
1) 흡연 예방사업
- 흡연 시작 가능성이 높은 초중고 학생, 취업 청소년, 대학생, 성인여성, 군인 등에 대해 집단별 특성을 반영하여 교육 및 홍보 실시
2) 흡연자 금연사업
- 흡연자 및 흡연율이 높은 집단을 대상으로 금연치료(금연클리닉, 금연캠프,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 등), 교육, 의료인 권고, 홍보 사업 실시
3) 비흡연자 보호 사업
- 직장금연, 가정 실내금연, 공중이용시설 금연 및 금연구역준수 홍보, 간접흡연의 유해성과 간접흡연 노출시 행동지침에 대한 미디어 홍보
4) 금연환경 조성사업
- 담뱃값 흡연 경고 그림 표시
- 금연조례, 금연구역 설정 및 관리
참고 자료
고정은 외 10명, 지역사회 간호학 1, 현문사, 2018
고정은 외 10명, 지역사회 간호학 2, 현문사, 2018
2019년 금연클리닉 상담매뉴얼
https://nosmk.khealth.or.kr/nsk/ezpdfwebviewe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site/ntcc/upload/fileManagement/20200826095639_b1eec33c726a60554bc78518d5f9b32c.pdf
이경원,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효율성 평가를 위한 탐색적 연구, 2016,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황승숙,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의 금연 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인- 금연상담사의 상담내역 중심, 2010, 한국생활환경학회
송태민,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현황과 전망, 200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유성구청 http://www.yuseong.go.kr/?home=Y
유성구 보건소 http://www.yuseong.go.kr/?page_id=10469
유성구청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yuseonggu
금연두드림 https://nosmk.khealth.or.kr/nsk/ntcc/subIndex/66.do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ttps://www.khealth.or.kr/board?menuId=MENU00776
한국건강증진개발원 https://www.khealth.or.kr/healthplan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search/search.es?mid=a20101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