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참여관찰, 비참여관찰, 준참여관찰
- 최초 등록일
- 2020.07.28
- 최종 저작일
- 2020.07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I. 참여관찰
1. 의의
2. 장점
3. 단점
II. 비참여관찰
III. 준참여관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참여관찰 (Participant Observation)
1. 의의
참여관찰은 관찰대상 집단의 내부에 들어가서 그 구성원의 일부가 되어 공동생활에 참여하면서 관찰하는 방법이다. 즉, 단순히 관찰대상의 집단에 들어가서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집단 구성원의 하나가 되어 신분을 갖고 역할을 수행하면서 관찰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갱집단에 들어가서 갱활동을 하면서 관찰하거나, 뉴기니 등 섬에서 원주민과 같이 생활하면서 관찰하는 것 등이 이에 속한다.
2. 장점
․ 어떠한 특수한 행위의 동기나 사람들 간의 미묘한 감정관계 등 외부로 나타나지 않는 사실까지 직접 경험, 관찰할 수 있다.
․ 관찰대상의 자연성과 유기적 전체성을 보장할 수 있다. 즉, 관찰대상을 자연적인 상태에서 파악할 수 있다.
3. 단점
․ 관찰대상의 구성원으로 가장하고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면 갱조직이나 윤락여성 집단은 그 구성원으로 침투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성원으로 행동하는 데 많은 애로점이 있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