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바라본 영화 『광해』
- 최초 등록일
- 2020.06.10
- 최종 저작일
- 2019.11
- 4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영화와 같은 미디어 매체(팩션)를 역사교육에서 사용했을 때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중점으로 기술했습니다.
(영화는 '광해'를 선택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바라본 <광해>의 긍정적 측면
Ⅲ.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바라본 <광해>의 부정적 측면
Ⅳ.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1895년 12월 28일,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살아있는 이미지를 스크린에 담아 내는 ‘영화’가 등장했다. 영화는 19세기 말부터 오늘날까지 전 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왔다. 영화에는 여러 장르가 있다. 액션, 공포, 로맨스 그리고 역사적 사실에 상상력을 덧붙인 새로운 장르 팩션이 있다.
역사를 주제로 한 영화는 역사교육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영화의 허구성이라는 측면과 같은 부정적인 시각 또한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영화 <광해>를 들어보고자 한다. <광해>의 내용 중 대동법을 시행하고 중립외교를 펼치는 장면이 나온다. 일반 대중들에게는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 지식이지만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쉽게 습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팩션에는 여러 문제점이 있다. 영화는 감독의 주관에 의해 구성되고 만들어진다.
참고 자료
나인호. <팩션(faction)과 역사교육>. Vol.98 No.- 2010. 대구사학회. 4쪽.
광해군일기[정초본] 100권, 광해 8년 2월 28일.
윤선자. <근대 초 도시에서의 샤리바리 의례의 진화와 교회의 비난>. 한국프랑스학논집. Vol.61 No.- 2008. 한국프랑스학회. 450쪽
공임순. <우리 안의 ‘과거’, 1960년을 낯설게 혹은 다르게 읽는 법>. 역사와현실. Vol.-No.92. 2014. 한국역사연구회. 417쪽
유득순. <학습 자료로서 역사영화에 대한 역사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역사교육연구. Vol.- No.30. 2018. 한국역사교육학회. 222쪽
노진서. <소설과 영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사례 연구>. 역사와실학. Vol.66 No.-. 2018. 역사실학회. 45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