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재론-한국어 교육 교재의 현황을 분석[한국어교원]
- 최초 등록일
- 2020.04.28
- 최종 저작일
- 2020.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한국어 교육 교재의 현황을 분석하고 개발이 필요한 한국어 교재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십시오.
목차
I. 서론
2. 본론
2.1 교재의 정의
2.2 교재의 범위와 기능
2.3 한국어 교재 개발의 역사
2.4 한국어 교육 교재 개발의 현황
2.5 개발이 필요한 한국어 교재에 대한 자신의 의견
3.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1980년대 중반 이후 빠르게 성장한 국내외의 한국어 교육은 교수 학습 상황, 교수 학습 내용, 교수 학습 방법 등이 전체적으로 많이 달라지고 있다. 국내외 한국어 교육 정책 및 현장과 학습자 요구가 다양해지고 교사 집단도 전문적으로 훈련된 인력이 양성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그리고 이런 현실적인 변화는 한국어 교재의 선택 및 교재 개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중 략>
2. 본론; 교재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단일 영역으로는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2.1 교재의 정의
교재는 교사와 학습자에게 중요한 교수 학습의 도구이다. 또한 교재에는 교육 목표와 교육 철학, 교육 정책 등이 포함돼야 한다. 민현식은 교육과정에서 동원되는 모든 입력물이라고 정의했고, 협의의 교재로는 학생들이 교육 목표에 도달하도로 교육 내용을 미리 선정, 가시적으로 제시한 것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또한 교사와 학습자를 매개하면서 교수 학습 상황을 진행하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
참고 자료
이 소연 편저, 본 교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곽지영.김미옥. 김제열. 손성희 외 공저(2007),“한국어 교수법의 실제” 중에서 제 10장 [한국어 교재론]황인교 ,연세대학교출판부,
신 현숙 외“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I”중에서 제 4장 [한국어 교재]최유리, 푸른사상,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