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화학개론 및 수분의 종류
- 최초 등록일
- 2020.03.26
- 최종 저작일
- 2020.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식품학(식품화학) 과제 레포트 입니다.
목차
1. 식품화학이란
2. 식품화학 연구를 위한 접근
1)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식품의 중요 특성인 성질 측정
2) 식품의 품질 및 안전성의 소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및 생화학적 반응의 측정
3) 핵심이 되는 화학적 및 생화학적 반응이 어떻게 품질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앞의 두 항목의 통합적 측면
4) 식품의 배합(formulation), 가공 및 저장 중에 당면하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하여 밝혀진 지식을 적용하는 문제 등
3. 식품화학의 역사
1) 카를 셸레 (Karl Wilhelm Scheele, 1742~1786)
2) 앙투안 라부아지에 (Antoine Laurent Lavoisier, 1713~1794)
3) 조셉루이 게이뤼삭 (Joseph Louis Gay-Lussac, 1778~1850)
4) 영국의 험프리 데이비 (Humphry Davy, 1778~1829)
5) 베르셀리우스 (Baron Jons Jacob Berzelius, 1779~ 1848)
6) 유스투스 폰 리비히 (Justus Freiherr von Liebig, 1803~1873)
4. 식품의 성분과 기능
1) 영양기능
2) 기호기능
3) 생채조절기능
5. 식품에서 수분의 역할과 종류 (자유수와 결합수)
1) 자유수 (free water)
2) 결합수 (bound water)
본문내용
1. 식품화학이란
식품화학(Food chemistry)은 화학‧생화학‧미생물학‧물리학‧생리화학‧식물학‧동물학‧분자생물학‧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 영역을 바탕으로 인간의 식량 급원으로서 생물학적 물질을 효율적으로 연구하고 조정하기 위한 학문 분야이다. 식품의 조성과 성질, 그리고 식품의 취급, 가공 및 저장 중에 당면하는 화학적 변화를 다룬다.
생물학적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밝힌다는 점에서 생물과학과 비슷하지만, 생식·생장 및 생명현상과 결부된 환경 조건하에서 생물학적 물질이 거치는 변화를 다루는 생물과학과 달리 식품화학은 죽은(dead) 혹은 죽어 가고 있는(dying), 즉 생명현상이 약화되고 있는 생물학적 물질과 이들이 다양한 환경 조건하에 노출될 때 거치는 변화를 주로 다룬다. 따라서 과실 및 채소의 수확 후 생리(postharvest physiology)와 동물 근육의 사후 생리 (postmortem physiology)도 식품화학 영역에 속하는 학문 분야로 볼 수 있다.
식품화학의 연구에서는 안전하고 우수한 품질을 가진 식품의 주요 성질과 특성을 측정하게 되고, 식품의 품질 및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반응을 측정한다. 또한 일련의 반응들이 품질과 안전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여야 하고 식품의 배합 및 가공, 저장 중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변화에 대하여 이미 밝혀진 지식을 적용하여 응용하여야 한다.
정리하자면 식품화학이란 식품원료를 가공 및 조리한 후 최종 제품으로 만들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모든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반응을 포함하는 물리적, 화학적 변화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중 략>
3. 식품화학의 역사
식품화학의 역사는 농화학(Agricultural Chemistry)의 역사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오늘날과 같은 식품산업은 17세기부터 시작되었다. 식품화학의 발전해가는 역사를 주요 기여자와 년도 중심으로 살펴보자.
참고 자료
김건희 외 6인, 재미있는 식품화학, 수학사, 2012
최천규 외 31인, 학문명백과, 농수해양, 형설출판사
채범석 외 1인, 영양학사전, 아카데미서적,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