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광식, 「서설」,《현대 한국이념논쟁사 연구》, 정신문화연구원, 1999
· 강수돌, ‘신지식인론'의 강점과 약점, http://www.allim.go.kr/mag/nara/summer/55.html
· 강정인, 「민주화의 관점에서 본 이념논쟁」,《현대 한국이념논쟁사 연구》, 정신문화연구원, 1999
· 김경식, 「현대 한국 군정교육의 역사적 평가」《한국현대교육의 재평가》, 집문당, 1993
· 김병희, 「신화와 교육」《교육학연구》, 한국교육학회, 1998, 제 36권 제 4호
· 김영호, 「21세기 인간상 흥부」, 2002. 3. 13. 남원문화회관 강연 원고.
· 김은숙, 《현단계 민중교육론》, 백산서당, 1987
· 김진경, 《전환시대의 민족교육》, 푸른나무, 1989
· 박동천, 「산업화의 관점에서 본 이념논쟁」,《현대 한국이념논쟁사 연구》, 정신문화연구원, 1999
· 박부권외, 《교육이념과 홍익인가》, 한국교육개발원, 1989
· 백종국, 「한국에 있어서의 산업화과정과 정치적 안정 및 불안정」《한국의 산업사회와 정치과정》,신서, 1994
· 서진영편, 《세계화시대의 사회통합》, 나남출판사. 1998
· 안정수,「한국교육 위기상황의 교육목표 연관분석을 위한 시론」《대전환기의 교육패러다임》, 한국교육학회, 2000
· 오천석, 《발전 한국의 교육이념 탐구》,배영사, 1973
· 윤진호외, 《구조조정의 정치경제학과 21세기 한국경제》, 풀빛, 2,000
· 이길상,「한국현대교육의 전체주의적/반민족적성격」《한국현대교육의 재평가》,집문당,1993
· 임혁백, 《시장/국가/민주주의》, 나남, 1994
· 장상환, 《한국자본주의의 역사와 전망》, 2001년 여름 정치경제학 강좌, 사회경제학회, 2001. 7. 1.
· 정범모, 교육의 본질과 이념」,《한국교육의 본질과 이념탐색을 위한 세미나》, 한국교육개발원, 1989,
· 천보선, 「신지식인론의 등장과 신자유주의와 진보교육의 패러다임」, 《진보교육》 창립회보, 1999,
· 최장집, 《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나남, 1996
· 최형익, 「지식기반사회'의 이데올로기와 노동, 그리고 정치」, 진보평론 5호(2000년 가을호)
· 한국교육개발원(연구책임자 : 정영수), 《한국교육정책의 이념(Ⅱ)》, 1986
· 한명희, 《한국교육이념의 탐구》, 문교부, 1990
· 홍두승외, 《한국의 직업구조》, 서울대학교출판사, 1999
· 신지식인/논쟁가열/3인 특별대담, 경향신문 [ 기획연재 ] 1999. 5. 2.
· 디지틀 조선일보 1999년 04월 01일 19:09
· 경제성장과 국민소득, (KoreaScope, http://www.koreascope.org/sub/1/index3-a.htm)
· 박진환, 경제개발과 새마을 운동http://www.hanbal.com/review/review112/giwhoik.htm,
· 방송통신대학 졸업식 대통령 연설 전문 99. 2. 27, (http://user.chollian.net/~findnews/je/chuksa.htm 신지식인은 누구인가, (http://my.netian.com/~dk628/social/new.htm)
· 청와대 정책기획 수석실 문서(http://www.taegu-hc.ac.kr/~ejrdo/신지식인.htm)
· 평생교육자 신지식인운동 추진대회 대통령연설문, http://www.hwedu.co.kr/pro.asp
· 한숭희, 신지식론은 인문학의 적인가?, http://www.a<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