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과 통신] 방송과 통신의 융합
- 최초 등록일
- 2003.10.12
- 최종 저작일
- 2003.10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도움 마니 되실 겁니다.
목차
I.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대한 정의
Ⅱ. 방송․통신 융합의 형태
1. 인터넷 방송
2. 디지털 방송
Ⅲ. 방송․통신융합의 전개
1. 융합의 과정
Ⅳ. 융합의 새로운 패러다임
1. 융합과 새로운 사업자 분류
2. 새로운 규제체제
V.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방송과 통신의 융합
- 다중매체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 -
I.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대한 정의
2002년이 되면서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디지털 다매체 다채널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지상파방송의 디지털 실험방송이 실시되고 있으며 위성방송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위성방송사업자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은 한국통신의 한국디지털위성방송(KDB)이 선정되었으며, 앞으로 외국방송사업자의 국내 방송시장 진입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케이블TV의 디지털화와 인터넷방송의 급속한 확산 역시 매체간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쌍방향 기능을 수행하게 될 디지털 다매체 다채널 방송환경은 곧 우리에게 여러 가지 영향을 끼치게 된다. 통신과 방송은 오랜 기간 동안 별개의 매체로 발전하여 왔다. 통신은 특정한 상대방을 대상으로 하여 음성과 문자 정보를 쌍방향으로 제공하며, 그 효과는 개인적이고 제한적이다. 반면, 방송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며, 주로 영상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효과는 공개적이며 확산적인 성격을 가지는 매체라고 규정하여, 통신과 방송은 별개의 매체라는 개념이 지배적이었다. 정보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됨에 따라 방송이 정보통신 기술을 흡수하여 이용하면서 과거 오랫동안 서로 독립적으로 발전하여 온 방송과 통신의 영역 구분이 점차 모호해져 서로 융합되어 가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면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참고 자료
김대호 외. 1996. ꡔ방송․통신 융합 촉진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ꡕ, 통신개발연구원
김대호. 1998. “영국의 방송․통신 정부부처, 규제기구 일원화 추진”, ꡔ정보통신정책ꡕ 제10권 제1호
김은미. 1999. “디지털시대의 방송정책 - 케이블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세미나> 발표문
김유경 외. 1998. “한국사회의 정보화 촉진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한국언론학회․한국사회학회 편, ꡔ정보화시대의 미디어와 문화ꡕ, 세계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