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문화대혁명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19.12.03
- 최종 저작일
- 2019.12
- 12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중국 문화대혁명에 관한 레포트입니다.
문화대혁명의 배경과 일지, 평가, 영향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1.문화대혁명이란
1)배경
2)내용
2.평가
3.문화에 끼친 악영향
본문내용
1. 문화 대혁명이란
1965년 말에서 1968년 말까지를 본격적인 시작으로 보고, 여파를 감안해 1976년 모택동이 사망했을 때까지 이어졌던 이 사건은 모택동이 당내 존재함을 주장했던 자본주의적 수정주의자인 주자파들을 전부 숙청하자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문예 비판으로부터 시작된 것이 정치 권력 투쟁으로까지 발전하였고, 여기에 노동자•학생들이 홍위병을 만들게 되면서 전반적 대중운동으로 급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모택동은 당내 후계자인 실용주파 유소기(류샤오치, 劉少奇)를 숙청한 뒤, 새 후계자로 린뱌오를 지명, 아내인 강청(쟝칭, 江青)을 중심으로 소위 4인방으로 불리는 새 정치 후계자 그룹을 만들어냈다.
그에 따라 노선의 측에서 보면 문화대혁명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후에 당내의 실용주의와 좌익 노선 간의 투쟁으로 볼 수도 있다. 그 결과는 좌익의 깔끔한 승리였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당내 노선 투쟁이 중국 사회의 전반으로 확대되면서 전 지역과 분야에서의 갈등과 대립이 확장•심화된다. 이 시기는 무한한 투쟁과 반대가 용인되고, 모택동을 제외한 기존의 모든 권위에 대해 투쟁과 반대가 허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보면 전사회적 피해가 엄청났다. 경제적으로 보면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쌓아왔던 경제성과를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모두 잃게 된다. 또한 정상적 교육기관이 약 10여년 간 제대로 기능을 할 수 없었고, 약 20만 명의 연구원 교사, 교수 등이 박해 받기도 한다. 중앙당의 간부 중 약 60~70% 정도가, 지방당의 고위 간부 중에는 약 70~80% 정도가 문화대혁명 시기에 숙청됐고, 전체적으로 보면 약 300만 명에 이르는 당정 간부들이 추방되었다가 1970년대 말 다시 복권됐다.
1) 배경
* 정치적 요인
정치적 배경으로 문화대혁명을 이해하려면은 모택동이 주도했던 대약진 운동의 실패에 대해 알아보아야 한다. 1962년 7000人의 대회(중국공산당의 중앙위원회 확대 공작 회의)에서 모택동은 대약진 운동 실패를 인정하고 자아비판을 행했다.
참고 자료
문화대혁명, 중국의 엘리트-마오쩌둥에서 제5세대 지도자들까지 / 네이버 지식백과
中 문화대혁명 50년...감추고 싶은 어두운 과거 / YTN, 박희천
중 ‘문화대혁명’ 50년… 반성 보다 사상 통제 고삐 / 세계일보, 신동주
문화대혁명 / 중국학 위키백과 SinoWiki
문화대혁명 오늘로 50주년…중국 당국 침묵모드 / 연합뉴스TV
中 문화대혁명 40주년… 극단행동 불씨될라 ‘조용한 대륙’ / 국민일보, 천지우
문화대혁명 / 리그베다위키
<中문화대혁명 50년> ③"권력투쟁에 국민 동원…가치관 붕괴돼" / 연합뉴스, 최현석
문화대혁명과 '시멘트 석굴' / 머니투데이, 홍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