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영화사)문화대혁명 이후 전반적인 중국 현대 영화사
- 최초 등록일
- 2022.01.10
- 최종 저작일
- 2021.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영화란 현실사회를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도구로, 대중전달의 매개체로 큰 파급효과와 전파성을 가지고 있다. 영화를 통해서 진정으로 중국사회의 현실을 파악하는데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로 최대의 사건인 문화대혁명을 통해 마오쩌둥 정권의 정책을 통해 중국 현대 영화사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문화대혁명은 한 사건의 발단으로 일어나게 됐는데, 1961년 공연된 ‘해서파관’이라는 연극을 통한 것이다. 1965년 11월 10일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쟝칭, 야오원위안, 왕홍원, 장춘챠오 4인방 중 한명인 야오원위안은 이 연극을 바판하면서 문회보에 게재했고, 뒤 이어 해방일보에도 실리기 시작했다. 이 작품이 북경의 부사장이면서 유명한 극작가였던 우한이 1960년 경에 쓴 경국의 제목으로, 해서가 황제는 백성을 돌보지 않음에 대해 충언했다 노여움을 사서 파직된 명나라의 가정제 시대 고관으로 이 경극이 당시 큰 인기를 끌고 있었다. 이 작품이 봉건 시대의 공직자 미화와 더 나아가 지주 계급 국가에 대한 옹호로 프롤레타리아 독재 및 사회주의 이념에 반하는 것이라는 비판을 하기 시작했으나 사실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인해 정치적 위기에 처한 마오쩌둥과 쟝칭의 암묵적지지 아래에 작성되어 향후 10년에 걸쳐 전개되는 문화대혁명의 불씨가 됐음을 알 수 있다. 대약진 운동을 문제 삼아 실각했던 평더화이 국방부장 명예 회복의 암시와 관련 있는 것이라며 교묘하게 비판하면서 주춤하던 마오쩌둥의 반대파를 제거할 수 있는 명목을 제공했으며, 결국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는 문화대혁명을 시작했던 것이다. 문화대혁명 자체가 파괴 없이 재건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바탕으로 낡은 것은 타파하고 새것을 세운다는 목표를 바탕으로 착취계급의 문예에 대한 파괴와 무산계급의 문예를 크게 세웠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참고 자료
박재형. 중국영화에 나타나는 현대중국사회의 비판적 성찰과 시각 - 중국 농민공 소재의 영화 분석을 중심으로. 2014.
http://www.riss.kr/link?id=G3740755
쑨추이추이. "문화대혁명이 중국 음악 발전에 미친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2019. 서울
http://www.riss.kr/link?id=T15395114
장침,and 김성희. "중국 현대 영화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2.2 (2019): 61-78.
http://www.riss.kr/link?id=A106287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