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철학과 기독교신앙
- 최초 등록일
- 2019.11.07
- 최종 저작일
- 2016.08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8,000원

소개글
"공공철학과 기독교신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어원적 개념
3. 서양철학사에 나타난 공공성
4. 기독교 공공성의 신학
5. 한국교회의 공공성
본문내용
‘공공성’(publiceness)의 개념을 고찰해 볼 때 이 용어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서양철학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것은 아니다. 서양에서도 공공성에 대한 용어는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공공성을 이해하기 위해 원천이 되는 단어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세 단어를 발견하게 된다. 첫째, 영어 polis이다. polis는 그리스어의 ‘politeia'에서 왔다. 플라톤(Plato)의 대화편 제목으로 유명해 진 이 단어는 원래 그리스의 ’도시국가‘(polis)의 구성원의 자격을 의미했다. 또한 그리스 철학자들은 이 단어를 더 확장하여 ’도시국가가 운영되는 제도와 법‘으로 이해했다. 요컨대 정부 또는 국가기관의 형태와 체계를 의미한다.
둘째, 라틴어 'res bublica'이다. 이 단어는 철학자 키케로(Marcus Tulliut Cicero)가 자신의 저서인 De re publica에서 그리스어 ‘politeia'를 ’res publica'로 번영한 후 일반적으로 사용된 단어이다. 이 단어는 ‘공공의 일’을 가리키는데 더 확장된 의미로는 ‘공공재산’, ‘국가’, ‘공화국’, ‘행정기구’, ‘공권력’등을 가리키게 되었다.
셋째, 라틴어 'civitas'이다. 이 단어는 로마가 팽창하면서 로마로 편입된 다른 민족이 조공을 바치거나 로마법을 수용한 경우에 그들에게 수여된 시민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의미했다. 이 단어로부터 영어의 '시민권‘, ’시민‘이란 단어가 파생되었고 더 나아가 ’국가‘(state)를 가리키는데 사용되었다. ’문명‘(civilization)이란 단어도 이러한 맥락에서 로마가 야만족이라고 불렀던 타민족을 정복하고 세운 도시와 거주민을 부르는데 사용되었다. 어원적으로 볼 때, 공공성의 개념은 개인의 영역으로서가 아닌, 국가와 그 안에 거주하며 살아가는 시민의 영역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의 문제에서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최태연, “서양철학에서 본 공공성: Publicness in the Western Philosophy,” [기독교와 인문학」 9권 (2008): 27.
최경환,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과 공공신학:The concept of Habermas' Public Sphere and Public Theology," [기독교철학」, 19권 (2014): 206.
기독교윤리실천운동, “2013년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여론조사 결과발표 세미나” [온라인 자료] http://trusti.tistory.com/938 2016년 11월 21일 접속
김종걸, “공공철학과 기독교의 공공성,” 「복음과 실천」, 56집 (2015 가을):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