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모음체계에서 단모음의 음소 수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존재 한다. 표준어 발음법에서 제시된 내용과 다른 단모음 음소 수에 관한 각각의 견해의 근거와 타당성에 대해서 기술 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9.07.29
- 최종 저작일
- 2019.06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님그림자
9회 판매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를 최초로 배우게 되는 외국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모음부터 공부를 시작하게 된다.
한국어의 모음은 조음기관의 장애 없이 성대의 진동으로 제 홀로 발음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자음과 구별이 되는데 모음은 홀로 음절을 이루어 발음이 되지만 자음은 모음의 도움 없이는 음절을 이루어 소릿값을 결정 할수 없기 때문에 모음은 한국어를 공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모음체계의 특징과 음소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다.
2. 본론
한국어 모음체계의 특징은 조음기관의 공기 흐름의 장애로 조음 되는 자음과 달리 공기의 흐름의 장애 없이 제 홀로 음절을 이루어 조음 되는 소리로서 발성부에서 만들어지고 혀의 높낮이, 혀의 전후 위치, 입술의 모양등 공깃길의 모양으로 소릿값이 정해지게 된다.
또한, 한국어의 모음은 사람의 성대의 진동으로 나는 유성음으로 목 안과 입안을 울려서 나는 소리로 자음에 비해 울림도가 더 크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참고 자료
최성옥 – 일상생활 글쓰기 – 한국어 모음 체계의 특징.
한국 음운론 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