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원작소설과 영화 비교,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원작소설과 영화 비교,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6.02 최종저작일 2019.06
20P 미리보기
원작소설과 영화 비교,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 미리보기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본 론
    1) 수상 후보 선정 및 수상 경력
    2) 평론
    3) 주제 전달력
    (1) 주연 캐릭터의 변화
    가. 앤드리아 삭스
    나. 미란다 프리스틀리
    (2) 주제 전달 방법의 변화
    (3) 영상 표현
    가. 오프닝 – 교차편집을 통한 ‘대조’
    나. ‘카메라 각도’에 따른 ‘앤드리아’와 ‘미란다 프리스틀리’ 비교
    다. 영화 ‘의상’으로 나타나는 주인공의 변화
    라. 일과 삶에 대한 고민

    제 3 장. 결 론
    1)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로 본 워라밸
    2) 현실에서의 워라밸
    (1) 과도한 노동시간
    (2) 워라밸 문화로 인한 새로운 소비 풍조
    3)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 1 장 서 론
    최근 구직자, 직장인들 사이에서 ‘워라밸’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워라밸’이란 1980년대 영국 여성해방운동 때 처음 등장한 말인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의 줄임말이다. 현재 한국 직장인들의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9.3시간으로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근무시간인 8시간보다 평균 1시간을 더 근무하고 있으며, 최근 구직자 대상 설문에 따르면 절반이 넘는 65.5%의 사람들이 ‘연봉 중간, 약은 적은 기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OECD가 발표한 워라밸 지수 상위권 국가들은 모두 일의 생산성이 높은 유럽 국가들이였다. 이는 돈과 안전성 있는 일에 집중했던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일과 삶의 균형을 찾아가려는 밀레니엄 세대로부터 기업문화가 새롭게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악마를 프라다를 입는다>에서 미란다는 개인 생활보다 자신의 일을 중시하는 기성세대로, 일과 삶 중 선택에 기로에 놓이는 앤드리아는 밀레니엄 세대를 빗대어 볼 수 있다. 하지만 워라밸의 비율에 정답이 있을까? 최근 들어 무엇보다도 개인 생활을 중시하는 사람들이 대폭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주변을 돌아 볼 여유가 없을 만큼 열정을 가지고 자신의 일에 푹 빠질 수 있다면 ‘work’와 ‘life’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원작소설과 영화에서 앤드리아는 명품 ‘지미추’를 신은 뒤 많은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일에 빠져 주변에 소홀해 지기 시작하는 앤드리아의 선택과 그 과정을 통해 워라밸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제 2 장 본 론
    1) 수상 후보 선정 및 수상 경력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는 개봉 년도인 2006년부터 다양한 부분에서 수상을 하였다. 특히 편집장 역할을 하였던 메릴 스트립은 많은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이 영화는 국제 영화제에서 후보에 오르거나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영화로서 많은 인정을 받았다.

    참고자료

    · 『영상문법-영상연출과 편집을 위한 기본원리, (2011), 최현주 지음, 한울 아카데미
    · Hai Hua Xue, 송낙원. (2011). 영화 의상의 기호학적 분석-<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와 <코코 샤넬>을 중심으로. 디지털영상학술지, 8(2), 29-50.
    · 김가희, 고부응, (2009). ‘여성 관객은 무엇을 원하는가?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에서의 동일시 문제를 중심으로‘, 문학과영상, 10호 3, 563-592
    · 류근종, 금기숙. (2006). 패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영화의상 디자인 연구 -영화 '마이페어 레이디' 의 여주인공 의상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6(2), 2.
    · 성은애, (2007). ‘문화비평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와 그 자매들’, 영미문학연구회, 22권 0호, 227-242
    ·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 - '워라밸' 탄생의 배경: 위계와 강제노동의 문화, 매일경제, 김인수 기자, 2019-04-29.
    · https://www.mk.co.kr/opinion/columnists/view/2019/04/272894/
    · [영화 속 마음을 읽다] 그래서 오늘도 우리는 프라다를 입습니다, 정신의학신문, 권순재, 2019-03-26.
    ·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752
    · [워라밸 행복 일터] - KT, 업무 집중·정시 퇴근…‘굿잡’ 캠페인 96% 만족, 이투데이, 김범근 기자, 2019-04-28.
    · http://m.news.zum.com/articles/52137027
    · <워라밸이 시장을 움직인다>, CEO&SPECIAL, 2018 9월호. Editor 이종철
    · http://www.ceopartners.co.kr/bbs/board.php?bo_table=bd_04&wr_id=136
    · <주52시간 근무 시대에 야근 때문에 퇴사>, 주간동아, 박세준 기자, 2019-05-20.
    · http://weekly.donga.com/Main/3/all/11/1732505/1
    · 주 52시간제 사업체 노동시간 감소세…고무제조업 9.6시간↓, 매일경제, 연합뉴스,
    · 2019-04-30.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04/277023/
    · '2030' 백화점에서 '워라밸' 찾는다…문화센터 ‘북적’, 조선비즈, 박수현 기자. 2017-12-26.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2/26/2017122601651.html
    · 워라밸 절실…직장인 '해외취업' 원하는 이유 TOP 5, 싱글리스트, 에디터 진선, 2018-07-12.
    · http://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39156
    · “적당히 벌고 아주 잘 살자,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KOGAS 대학생 활력기자단 4기 송하영기자, 2017-11-03
    · http://blog.kogas.or.kr/221131553089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을 보는 시선① 원작소설과 비교하기, 씨네21, 듀나, 2006-11-15,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2620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을 보는 시선② 냉혹한 현실과 비교하기, 씨네21, 황진미, 2006-11-15.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2621
    · https://youtu.be/P17pjgYbGcM?t=6s (1분 50초까지)
    · 네이버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평론
    · https://movie.naver.com/movie/bi/mi/detail.nhn?code=60484
    · 위키피디아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 https://ko.wikipedia.org/wiki/%EC%95%85%EB%A7%88%EB%8A%94_%ED%94%84%EB%9D%BC%EB%8B%A4%EB%A5%BC_%EC%9E%85%EB%8A%94%EB%8B%A4_(%EC%98%81%ED%99%94)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