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계 사립학교가 한국교육에 준 영향
- 최초 등록일
- 2019.05.20
- 최종 저작일
- 2018.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한국인의 대부분이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개신교 인구는 전 인구의 21.6%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계적 자료를 볼 때 기독교는 하나의 종교로써 기독교인들의 수많은 실천과 사고는 후대에 여러 가지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세계가 서구문화의 지배를 받음으로 해서 서양을 시발점으로 하는 기독교는 그에 따라 세계전체로 퍼져 나갔고 가장 주된 종교중 하나로써 생활의 여러 부문에서 우리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리하여 본론에서는 기독교의 역사와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끼친 영향에 대해 서술해보도록 하겠다.
2. 본론
알렌은 1885년 최초의 근대적 국립의료기관인 광혜원을 서울 재동에 설립하여 의료사업을 시작하였고, 이어 1886년에는 16명의 학생을 선발하여 서구의 근대적 의료기술을 가르치는 등 교육 사업을 시작하였다. 광혜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이며 갑신정변 때 부상을 입은 명성황후의 조카 민영익을 치료해 준 인연으로 고종의 총애를 받아 그의 도움으로 광혜원을 세워 운영해 나갔다. 이 병원은 나중에 제중원으로 명칭이 바뀐다. 광혜원은 후일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으로 발전하였다.
아펜젤러는 1885년 6월에 입국하여, 같은 해 8월부터 영어를 배우겠다고 찾아온 2명의 학생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정식으로 학교를 개교한 것은 딱 1년 후인 1886년 6월이었다. 다음해 학생 수가 급격히 증가하자 서구식 학교건물을 마련하는 등 교육시설을 확충하였다. 이에 고종이 1887년 유능한 인재를 양육하는 집이라는 의미의 배재학당(培材學堂)이라는 교명과 현판을 하사하였다. 정부의 정식 승인을 받은 아펜젤러는 ‘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 하는 자는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한다’ 라는 성경구절을 번역한 욕위대자 당위인역(欲爲大者 當爲人役)이라는 학당훈을 내걸었으며 정신에 따라 근대적 교육을 본격적으로 실시하였다.
참고 자료
이주한(2007),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탐구. 창지사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영국과 한국의 명문교육 (https://blog.naver.com/shl3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