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교육,사교육 시장
- 최초 등록일
- 2019.05.10
- 최종 저작일
- 2019.05
- 17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000원

목차
1. 연구 주제 선정의 의의
2.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내용
3.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의의
4. 우리가 세운 가설
5. 조사 계획
6. 참고문헌
7. Q&A
본문내용
연구 주제 선정의 의의
· 사교육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대한민국
· 중국 역시 교육열이 매우 높다.
– ‘맹모삼천지교’의 나라
· 치열한 입시경쟁과 주요과목 위주의 입시제도
· ‘소황제’
– 한 아이에게 집중적인 교육 투자 가능
→ 다양한 변인을 고려했을 때, 중국의 사교육이 우리와 비슷한 점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연구해 보게 되었다.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내용
- 중국 내 사교육 시장이 점점 커지고, 가구당 사교육비 지출액이 점점 늘어남
<중국의 영어 교육 시장>
- 대학 진학자 수가 점점 늘어나면서
사교육을 받는 아이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음
<점점 높아지고 있는 평균 학력?
<사교육을 시작하는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음을 풍자한 만평>
- 중국 정부의 GDP 대비 교육비 지출은 아시아의 개발 도상국인 태국보다도 낮음
참고 자료
广州日报,「教育支出料超GDP4%」, 2012.3.6
吉林根网, 「国家教改试点方案公布:多途径解决择校问题」, 2011.1.13
충청타임즈, 「중국의 사교육, 등골이 휜다」, 2010.1.6
연합뉴스, 「세계 주요국의 사교육 대책 – 중국」, 2009.6.28
경향신문, 「중국, 中華로 돌아오다」, 2011.2.28
권오익, 「소황제 – 새로운 중국의 지배자」, 대안도서출판, 2007
이경자, 「중국의 대학입시 제도」, 한국교육학연구 제11권 제1호, p. 77-98, 20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