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론 )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족치료모델의 특징과 주요개념을 이해하여 설명하고, 본인의 가족문제를 대상으로 하기에 적절한 가족치료모델을 선정하여 적용해 보시오.
- 최초 등록일
- 2019.05.10
- 최종 저작일
- 2019.05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700원

판매자ReportRed (본인인증회원)
15회 판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가족치료의 주요 모델들
2) 사티어의 성장 모델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으며 관계 속에서 성장하고 발달한다. 가족은 인간이 가져온 제도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사회의 변천에 따라 여러 가지 영향을 받으며 꾸준히 지속되어 온 기본적인 사회제도이다. 한국사회는 가정불화로 인한 이혼율 증가, 가정교육의 부재, 결손가정의 증가, 아동학대와 부부폭력의 증가, 청소년 비행과 가정범죄, 노인부양문제, 가족의 병리적 현상, 가족이기주의, 가족공동체의 결속력 약화와 비인간화, 가족 간의 인격적 만남이 없는 공허하고 텅 빈 가족해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중 략>
1) 가족치료의 주요 모델들
먼저 정신분석학적 치료모델로, 프로이드는 개인의 역동을 이해하는 도구로써 아동기 초기 가족관계를 강조하였다. 가족환경이 어떻게 개인의 본능적 표현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두었고 가족을 개인이 자신의 성격을 개발시키는 매개체로 보았다. 타고난 본능과 생후 1년 동안의 인성이 개인의 정신과 성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규정하였으며, 다른 차원인 사회적 참여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경시했다. 후에 프로이드 이론을 가족치료에 도입한 애커만은 정신분석학적 가족치료자들 중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로서 무의식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의식적 경험의 맥락과 가족의 현실, 사회적 상호작용 내의 역동성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고 보았다.
참고 자료
채수경. 「경험적 가족치료를 통한 역기능가정의 치료 – V.Satir 성장 모델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