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윤리,윤리의 목적,윤리학의 문제점,윤리의 필요성,윤리의 기본 원리
- 최초 등록일
- 2019.05.02
- 최종 저작일
- 2019.05
- 28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000원

목차
1. 왜 윤리적으로 살아야 하는가?
1) 윤리란 무엇인가?
2) 왜 윤리적으로 살아야 하는가?
2. 인터넷 윤리란 무엇인가?
1) 기존 윤리의 특징과 한계
2) 인터넷 윤리의 필요성
3) 인터넷 역기능의 증가
4) 정보기술의 유혹
5) 온라인에서의 탈억제(disinhibition)
6) 인터넷 윤리의 기능
7) 네 가지 도덕 원리
8) 인터넷 윤리의 전개
본문내용
윤리란 무엇인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윤리는 필수 불가결한 것
본래 윤리(倫理)라고 할 때의 ‘윤(倫)’자는 무리, 질서 등을 뜻하고, ‘리(理)’자는 이법, 도리 등을 의미
윤리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즉 인간관계의 이법
서양에서의 윤리(ethics)는 희랍어의 ethos에서 유래하여 사회의 풍속, 습관 등의 의미를 가짐
윤리적으로 산다는 것은 살아감에 있어서 옳고 그른 것을 분명히 구분하여 옳다고 판단한 것에 따라서 사는 것을 의미
왜 윤리적으로 살아야 하는가?
윤리는 우리의 삶을 지도해 줄 규칙의 집합으로 구성됨
규칙들은 우리의 자유를 제한하지만, 그것은 오로지 더 큰 자유와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것임
윤리의 다섯 가지 목적
사회의 분열을 방지한다.
인간의 고통을 완화시킨다.
인간의 행복을 증진한다.
이익 갈등을 정의롭고 질서 있게 해결한다.
칭찬과 비난, 보상과 처벌 죄책감을 부과한다.
인터넷 윤리란 무엇인가?
기존 윤리의 특징과 한계
-기존윤리학의 제 이론
윤리학이란 삶의 행위 규칙인 도덕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목표로하는 학문
윤리학은 모든 윤리적 행위자들에게 타당한 윤리적 규범의 일관된 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보여주는 것
윤리학은 보통 기술윤리학(descriptive ethics), 규범윤리학(normative ethics) , 메타윤리학(meta-ethics)의 세 분야로 구별됨
-기존 윤리학의 주요 특징
첫째, 기존 윤리학에서 판단의 범위는 대체로 ‘여기’와 ‘지금’에 관련된 것. 즉, 도덕 판단의 범위가 시간적으로 현재, 공간적으로 근접 영역에 한정된 ‘지금-여기의 윤리학’(here and now ethics)이었음
둘째, 도덕 판단의 기준으로서 행위의 결과보다는 동기를 중요하게 여김
셋째, 개별 인간 중심적. 기존 윤리학은 지나치게 인간 중심적이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음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