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미학과 장르
- 최초 등록일
- 2019.04.20
- 최종 저작일
- 2019.04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영화미학
2.영화장르
1) 상위 장르(principle genre)와 하위 장르(sub genre) : 영화장르와 장르영화
2) 질서의 장르와 화합의 장르
3) 장르의 진화와 크로스오버 : 장르 혼합과 재창조
4) 장르의 3요소 : 포뮬라(formula), 컨벤션(convention), 아이콘(icon)
3. 패러디 영화(parody movie)와 오마주(hommage)
1) 패러디 영화
본문내용
1. 영화미학
영화의 학문(영화학)에 대한 연구방법은 연출과 관련된 표현방법, 이론, 비평, 촬영, 편집 분야 등의 예술적(기술적) 영역과 자본, 마케팅, 상영 및 유통 등이 주가 되는 산업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접근할 수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예술적인 영역에 대한 접근방법만 서술한다. 예술적 영역에 대한 영화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역사적 측면의 영화사(history)
- 시대별 주요 감독, 주요 작품을 당시 시대적 배경과 현상을 기초로 영화를 (예술, 기술, 산업의 카테고리 영역별로) 분석하고 탐구한다.
둘째, 영화이론(theory)
- 사실주의와 표현주의로 시작되어 서사 이론, 작가주의 이론, 장르론, 리얼리즘과 재현이론, 기호학, 페미니즘, 이데올로기 이론 등을 분석한다.
셋째, 연출과 제작의 방법론(methodology)
- 영화의 스토리(story), 내러티브(narrative), 연출 의도, 캐스팅에서부터 쇼트(shot), 신(scene), 시퀀스(sequence), 미장센, 편집, 음향, 특수효과 관련 테크놀로지 등이 포함된다.
넷째, 영화비평(criticism)
- 영화 평론은 영화의 내용과 창조적 표현(형식)을 분석하거나, 영화의 문화성, 사회성, 정치성, 역사성 등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것을 말한다. 영화 평론은 단순한 리뷰와는 구별된다.
리뷰는 줄거리와 구성을 요약하고 간단히 평을 하는 것이다. 반면 평론은 학문적이다.
평론은 영화를 평가하는 ‘론’으로써 “영화가 좋고 나쁨이 아니라, 더 나아가 영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현상과 그 현상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2. 영화장르
- 영화장르란 비슷한 특성과 성격을 가진 영화들을 다른 종류의 영화들과 구별할 때 사용되는 분류법이다. 영화를 장르로 구분하기 위한 명확한 정의가 있는 것은 아니다. 편의상 작품의 특징적인 요소를 자의적으로 꺼내 분류하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분류 방법도 기준도 사람마다 달라지는 경우도 많다. 영화에 ‘장르’라는 단어를 도입한 것은 프랑스의 유명한 평론가 앙드레 바쟁이다. 그는 1950년대 웨스턴(서부영화)에 대해 언급하면서 ‘장르’를 처음 사용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