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심근경색
- 최초 등록일
- 2019.04.17
- 최종 저작일
- 2019.04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목차
1. 심근허혈과 심전도 변화
(1). 심전도(EKG) 측정의 중요성
(2). 심근허혈과 심전도 변화
1). 심근허혈
2). 심근경색의 분류
(3). 심근허혈의 심전도 소견
1). 심근허혈의 원인
2). 심근허혈에서 활동전위의 변화
3). 심근허혈의 진단
2. 심전도를 통한 심근경색증의 진단.
(1). 심근경색증의 전형적인 심전도 소견
(2). 심근 경색의 분류
1). 부위별 분류
2). 심한 정도별 분류
3). 심전도 결과 기준별 분류
(3). 관상동맥의 손상 부위에 따른 심 표면의 위치와 심전도 유도
(4). 심근경색에서 경색 부위에 따른 심전도 변화
1).거울상변화 (역변화)
2).관상동맥의 경색 부위에 따른 심전도 변화
3. STEMI환자사례
4. 심근경색증의 이해
(1).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
1) 관상동맥증후근
2). 혈액 검사를 통한 심근 효소 및 단백질 확인.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심근허혈과 심전도 변화
(1). 심전도(EKG) 측정의 중요성
1). 심근경색증의 진단에 있어서 가장 주된 검사로 응급실에 흉통으로 도착한 ST분절상승심근경색증(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ction. STEMI)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는 문진 후 10분 이내에 시행해야 한다.
2). 심근경색 부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초기 진단으로 매우 중요하다.
3). ST 분절 상승 위치에 따른 심근경색의 부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관상동맥의 어느 부위가 막혔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4). 지속적인 증상 등으로 인하여 심근경색증이 의심되나 초기 심전도에서 ST 분절 상승 소견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최소 5-10분) 반복적으로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ST분절 상승 여부를 조기에 찾아내야 한다.
(2). 심근허혈과 심전도 변화
1). 심근허혈: 심장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관상동맥 혈관이 막혀서 심장근육에 산소나 영양분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상태이며, 심근의 일시적이고 가역적인 혈류 감소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산소공급의 불균형은 관상동맥의 죽상동맥경화로 인한 경우가 가장 흔하고 운동을 하거나 긴장을 해서 심박동수가 빨라질 때 심해지며, 평상 시 또는 안정 상태에서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2). 심근경색의 분류: 부위별로 전벽 심근경색증. 하벽 심근경색증, 심한 정도별로는 전층심근경색증(transmural myocardial infaction). 심근내막에 국한된 심내막하경색증(subendocardial infaction)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 심전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는 ST분절상승심근경색증(STEMI), 비ST분절상승심근경색증(NSTEMI)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심근허혈이 발생하면 심전도의 ST 분절, T파 부분의 형태의 변화가 발생하며, T파의 역전 등은 안정성, 불안정성 협심증에서 관찰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노태호(2016) 닥터노의 알기쉬운 부정맥, 도서출판 우노
대한심장학회 부정맥 연구회(2012), 부정맥, 군자출판사
박정숙,고은,고자경,권경남,김은심,김은희,김정아,서연옥,조명옥, 최은희,최자윤,황선영 외 역(2013) 성인간호학I.(7th):엘스비어코리아
신경림, 김옥수.김귀분,김남초,김영경 외(2012)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조익성, 권혁승(2011) 심근허혈 진단을 위한 ST 형태 분류 알고리즘.
정욱진 외(2016) 쉽게 풀어쓴 심장학 개정7판. 예당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