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의 흐름, 그리고 한국형 자본주의에 대한 고찰(자본주의 4.0)
- 최초 등록일
- 2019.04.08
- 최종 저작일
- 2014.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자본주의란
1-1 자본주의(Capitalism)의 발달
1-2 역전된 자본주의
Ⅱ. 자본주의의 흐름
2-1 근대 이후 세계 자본주의의 흐름
2-2 한국 자본주의와 경제
Ⅲ 한국 자본주의의 향방
3-1 세계 경제 흐름속의 한국
3-2 한국형 자본주의를 향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본주의는 이윤의 획득을 가장 큰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경제활동이다. 화폐를 투입하여 이윤과 함께 회수하면 화폐는 이윤을 생산하는 자본으로 이용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의 재화를 얻기 위해 화폐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화폐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화폐를 사용하는 이윤추구의 활동이 자본주의라고 불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윤의 획득은 각종 기회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어떤 물건을 싸게 사들여서 비싸게 판다든지, 또는 물품을 직접 제작하여 이윤을 붙여 판다든지 사람에게 돈을 빌려주고 그 이자를 받는다든지 하여 이윤을 획득한다. 어떤 형태를 취하든지 화폐를 시장에 투입하여 시장 내의 거래 결과로서 이윤을 얻는 것이다. 자본주의의 활동은 시장(상품경제)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으로서 그저 부를 추구하는 활동과는 다르다. 따라서 자본주의의 활동이 행해지기 위해서는 상품경제가 어느 정도 확대되어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서구의 경우 그리스·로마 시대부터 시장교역이 상당히 발달해 있었으며 활발한 상업 활동에 따르는 상품생산과 은행업·해운업 등이 자본주의 활동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상품경제가 어느 정도 확대된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보이는 현상이었다. 근대 이전의 상품경제와 자본주의 활동에는 각종 규제와 통제가 행해졌고 또 상품경제 그 자체가 사회의 경제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그리 높지 않았다. 따라서 경제 전체로 볼 때는 부수적이고 주변적 존재에 지나지 않았다.
자본주의 활동이 범위가 넓어지고 생산 활동이 주요한 부분이 된 것은 유럽의 근대사회에서였다. 이는 자본주의 활동이 경제 전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때 자본주의라고 규정지을 수 있음을 뜻한다. 근대 이후의 자본주의를 고대 및 중세와 구분하여 근대자본주의라고 하는 것은 근대 이후에 자본주의가 발달했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하나의 체제로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16세기부터이지만, 자본주의적 제도의 맹아들은 고대 세계에서도 존재했으며, 자본주의가 번성할 수 있는 토대는 후기 중세시대에도 나타났다.
참고 자료
로버트 스키델스키, “흔들리는 자본주의 대안은 있는가”, 한국경제신문
김덕한, “자본주의 4.0 로드맵”, 메디치
다니엘 코엔, “호모 이코노미쿠스 : 새로운 시대에 방황하는 선구자”, 글항아리
장하성, “한국 자본주의, 고쳐써야 한다”
김상조, “세계 경제위기와 한국 경제의 미래”
이호영, “자본주의 4.0시대 한국경제의 도전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