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간호실습 ER CASE - myocardial infacrtion 심근경색 CASE A+++
- 최초 등록일
- 2019.02.24
- 최종 저작일
- 2018.08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간략한 문헌고찰 포함, CASE 중심의 자료입니다.
#간호진단/과정 3개입니다.
1. 저산소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 통증
3.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불안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myocardial infarction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협심증과의 비교
4. 진단검사
5. 증상
6. 치료 및 간호
Ⅲ. 본론
1. 간호정보 조사지(간호력)
2. 임상검사
3. 투약
4. 간호과정
본문내용
Ⅰ. 서론
한국인의 서구식 식이변화로 인해 그와 관련된 질병들이 증가하고 있다. 고지방식이 섭취의 증가로 고지혈증이 증가하고, 고염식이를 즐겨먹는 식습관은 고혈압의 원인이 되고 있다. 2008년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 결과에 따르면 심장질환은 악성 신생물, 뇌혈관질환과 함께 한국인의 3대 사망원인으로 꼽혔다.
심장은 크게 3개의 관상동맥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데, 이러한 관상동맥의 협착이나 폐색으로 인해 심장의 산소와 영양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허혈 되거나 파괴되어가는 상태를 허혈성 심장질환이라 한다. 이에 MI 의심부터 확진까지의 과정 그리고 응급의료센터에서 초기 대응,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공부하며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Ⅱ. 문헌고찰
myocardial infarction
1. 정의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ACS)으로 심장발작이라고도 한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주원인은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당뇨 등에 의해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반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죽상경화증을 일으키는 위험인자가 심근경색의 위험요인이므로 이에 대한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완전히 막히면 허혈 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가 시작된다. 심근경색부위의 형태학적 변화는 폐색된 후 시간경과에 따라 다르며 첫 12시간까지는 괴사된 심근조직이 육안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인다 18-24시간이 지나면 육안으로 괴사부위를 식별할 수 있으며 적갈색의 심근이 빈혈을 일으켜 회갈색으로 변한다. 괴사층의 병리적 소견은 심근허혈의 정도에 따라 외층의 허혈층(myocardial ischemia)과 중간층의 심근 상처(injury), 완전히 혈류가 차단된 중앙부위의 괴사층을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