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과제)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_한국어 문법표현의 예/ 각 문법표현의 의미,형태동사,화용,관련어 / 한국어교재에서 해당문법 표현에 대한 설명,연습,활동 정리
- 최초 등록일
- 2019.01.15
- 최종 저작일
- 2019.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과제를 처음받았을 때 막막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참고할 만한 예시문이나 자료가 있었으면 좋겠다하고 생각했었습니다. 이 자료는 과제를 받고 막막할 때 보시면 아! 이렇게 틀을 구성하고 본문을 채우면 되겠구나! 하고 길잡이가 되어줄 것입니다. 마지막페이지에 채점자의 평가피드백 내용도 포함되어있으니 본문자료와 함께 참고하셔서 보다 더 훌륭한 리포트를 작성하여 좋은점수 받으시기를 기원드립니다.
목차
Ⅰ. 한국어문법에서 문법표현의 예 1
1. 의미 정보(뜻)
2. 형태동사 정보(활용 방식)
3. 화용정보
4. 관련어 정보(유사문법과의 차이)
5. 한국어교재에 해당 문법 표현에 대한 정리
Ⅱ. 한국어문법에서 문법표현의 예 2
1. 의미 정보(뜻)
2. 형태동사 정보(활용 방식)
3. 화용정보
4. 관련어 정보(유사문법과의 차이)
5. 한국어교재에 해당 문법 표현에 대한 정리
본문내용
Ⅰ. 한국어문법에서 문법표현의 예 1
*부정명령. 부정청유의 표현 ~지 말다.
1. 의미 정보(뜻)
>>~지 말다는 앞 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함을 나타냄, 금지 중단의 부정문을 형성한다.
2. 형태동사 정보(활용 방식)
1)문장구성 정보
*-지 마세요.(명령문)
>> 술을 마시고 운전하지 마세요.
>> 밥을 많이 먹지 마라.
*-지 말자.(청유문)
>> 술을 마시고 운전하지 말자.
>> 밥을 많이 먹지말자.
2)제약 정보
* ‘명사 + -이다‘ 형태나 형용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예쁘지 마세요, 춥지 마세요.
3. 화용 정보(언제 쓰이는지)
>>동사 뒤에서 ‘-지 말다’ 구성으로 쓰여 앞 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함을 나타냄
또는 하지말자고 요청하는 의미로 쓰임
예)여기에 주차하지 마세요.
교실에 음식물을 가지고 들어오지 마세요.
빨간신호등에 횡단보도를 건너지 마세요.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3강 강의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9강 강의자료
표준한국어교육문법(국립국어원)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내용개발연구 2단계, 3단계,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