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의 생장곡선(Growth curve)
- 최초 등록일
- 2019.01.09
- 최종 저작일
- 2017.10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세균을 배양하면서 때때로 특정 시간대에 생균수를 측정해야 할 필요성에 따라 세균의 성장과 분열 과정을 이해하고, 직접 균을 배양함으로써 나타나는 세균의 생장곡선을 이해하고 이를 직접 작성해본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 Discussion
5.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이번 실험에서는 먼저 세균을 배양하면서 때때로 특정 시간대에 생균수를 측정해야 할 필요성에 따라 세균의 성장과 분열 과정을 이해하고, 직접 균을 배양함으로써 나타나는 세균의 생장곡선을 이해하고 이를 직접 작성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실험방법은 먼저 LB broth(20ml)에 24시간 배양한 Escherichia coli KCTC1039 배양액을 1%(v/v)가 되도록 37℃에서 계대 배양 한다. 그 다음 볼텍싱하여 균일하게 섞인 E. coli KCTC1039 배양액을 1.0ml 취하여 cuvette에 담고,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00nm에서 O.D.값을 400분 동안 20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growth curve를 작성한다. 우리조의 실험결과, O.D.값은 1차, 2차 실험결과를 평균 내어 (280분 : 0.646 / 300분 : 0.665 / 320분 : 0.668 / 340분 : 0.660)의 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400분 동안 20분 간격으로 측정된 O.D. 값을 종합하여 growth curve를 작성해 볼 수 있었다. 또한 고찰을 통해 실험 시 주의사항과 O.D.값 및 growth curve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 Introduction
(1) 미생물의 분열 과정(binary cell division)
미생물의 생장이라 함은 미생물 구성성분의 양적 증가와 구조 및 크기의 증가, 즉 세포의 무게와 크기의 증가를 일컫는다. 그러나 세포는 무게와 크기의 증가에 뒤따라 세포분열이 일어나, 세포의 수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개체의 질량과 크기의 증가뿐만 아니라 미생물 총수의 증가도 생장이라 하며 전자를 개체생장, 후자 즉 총수의 증가를 집단생장이라 한다. 박테리아는 binary fission(이분법)으로 불리는 과정을 통생장하며 이 과정은 DNA 복제 및 분리, DNA 간의 분할, 격막 및 격벽 형성 및 세포 분리와 같은 여러 단계를 포함한다.
참고 자료
조규성. 식품미생물학 실험. 2012. 문운당, p.161-173.
강인수 외 6명. 식품미생물학. 2000. 훈민사, p.159-198.
박영현․박 훈․손천배․송 은․이진우․전성식 공저. 식품미생물학 및 실험. 2011. 보문각, p.153-155.
정동효. 신편 식품 미생물학. 1999. 선진문화사, p.187-189.
최영길 외7명 공저. 현대 환경 미생물학. 1999. 교학사, p.331-334.
[논문] 정양진. 스트레스를 받은 Salmonella typhimurium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항균제의 효과 연구. 2008. 경희대학교대학원, p.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