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식품미생물학실험 레포트(Esherichia coli의 Growth curve 작성)
- 최초 등록일
- 2021.06.26
- 최종 저작일
- 2021.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 받은 식품미생물학실험 레포트입니다.
Esherichia coli의 Growth curve(생장곡선) 작성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Method
4. Result&Discussion
1) 결과 해석
2) Figure 1 그래프 중 생균수 측정 곡선(log(cfu/ml))에서 오차가 발생한 이유
3) 미생물 증식을 검침하는 새로운 방식(고체 배지의 임피던스 측정)
5. Homework
6.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이번 실험은 세균의 성장 및 분열과정을 이해하고 직접 세균의 생장곡선을 작성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균은 이분법을 통해 증식하며, 회분식 배양에서 나타나는 생장곡선은 lag, log, stationary, death phase의 4구간으로 나뉜다. 실험은 Esherichia coli를 이용하여 진행하였고, 먼저 LB broth에 E. coli 배양액을 접종 후, shaking incubator에서 배양하면서 10분 간격으로 OD값과 생균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OD값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00nm에서의 측정값을 기록하였고, 생균수는 단계희석 후 surface plating을 통해 측정하였다. 70분부터 160분까지 10분 간격으로 E. coli의 O.D. 값을 측정한 결과, 평균값은 순서대로 0.137, 0.17, 0.218, 0.25, 0.2655, 0.2875, 0.349, 0.381, 0.399, 0.406가 나왔다. 생장곡선에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큐벳에 이물질이나 기포가 첨가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여러 번의 측정이 이뤄지기 때문에 생균수 측정 시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 Introduction
1) 미생물의 분열과정(binary cell division)
대부분의 세균(Bacteria)은 이분법을 통해 증식하는데 이분법에 의한 세포분열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복제가 일어나기 전 세균 염색체는 응축된 상태로 존재한다.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경우 염색체를 완전히 펼치면 세포 길이의 500배에 달하는데, 이렇게 긴 염색체가 세포 안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많이 감기고 접혀 있어야만 한다.
②복제원점(replication origin)이라고 불리는 세균 염색체의 특정부위에서 염색체 복제가 시작되어 염색체가 계속 복제됨에 따라 2개의 동일한 염색체가 형성된다.
참고 자료
이건형 외 16인. 벤슨의 미생물학 실험. 2015. 동화기술, p. 217-238.
권요셉 외 8인. 식품미생물학 COOKBOOK. 2017. 여문각, p. 75-80.
[논문] 최아미 외 2인. 미생물 검침을 위한 고체 배지 임피던스 센서.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p. 1629-1632.
“이분법”. 네이버 지식백과(미생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12102&cid=61232&categoryId=61232.
“growth kinetics”. 네이버 지식백과(미생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3130&cid=61232&categoryId=61232.
“감쇠증식기”. 네이버 지식백과(물백과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91122&cid=60289&categoryId=60289.
“비탁 분석”. 네이버 지식백과(화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6197&cid=50314&categoryId=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