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의 국내취업으로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다문화 가정의 문제점에 대해서 기술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지원 정책의 방향에 대한 의견을 서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8.12.31
- 최종 저작일
- 2018.03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국제결혼의 정의
ⅱ. 다문화 가정의 정의
ⅲ. 국제결혼의 현황
ⅳ. 다문화 가정의 문제점
ⅴ. 다문화 가정의 문제점에 대한 정부지원정책 해결 방안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정이 증가하면서 주변에서 외국인을 보는 것이 이제는 더 이상 낯선 일이 아니게 되었다. 1980년대 말부터 농어촌 총각 장가보내기 운동이 한계 계층 남성의 결혼 문제를 해결하는 방편으로 추진되었고 재중 동포인 조선족 여성과의 국제결혼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국제결혼은 지난 20여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1년에는 전체 혼인의 10%를 넘어섰다. 국제결혼의 비율이 늘어나는 추세이고 정부에서 가족통합정책에 맞추어 다문화가족이라는 용어가 생겼고 시민사회주도 지원단체의 경우 이주여성, 결혼이민자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여성수가 남성을 추월하면서 이주의 여성향이 나타나고 심각한 문제점을 보인다. 국제결혼이 늘어남에 따라 이주여성들의 적응과 교육 또는 아이들의 적응과 교육 등에 대한 방안도 시급한 상황이다. 한국사회에서 빠르게 증가하는 다문화가정으로 인해 사회의 어떤 변화와 어려움이 있는지,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과 대책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한다.
참고 자료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현실과 쟁점』(오경석, 한울, 2007)
『탈근대의 가족들-다양성, 아픔 그리고 희망』(이여봉, 양서원, 2006)
「2009년 혼인통계 결과」(통계청, 2010)
「‘이주의 여성화’ 현상과 한국 내 결혼이주에 대한 이론적 고찰」(황정미,『페미니즘연구』 제9권 2호, 2009)
「신자유주의와 다양한 가족」(김혜영, 『한국사회』제9집 2호, 2008)
「2008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결과」(행정안전부 지방행정국, 2008)
국제결혼 [international marriage, interracial marriage, mixed marriage, 國際結婚]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결혼 가족의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