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미생물학실험(미생물 고체배양 결과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18.12.10
- 최종 저작일
- 2018.1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실험목적
Ⅱ. 실험원리
Ⅲ. 실험방법
Ⅳ. 실험결과
본문내용
Ⅰ. 실험목적
▶ TSA(Tryptic Soy Agar)인 고체배지가루를 이용해 세균을 배양하고, 관찰한다.
Ⅱ. 실험원리
▶ Plating methods(고체배지에 미생물 세포를 도금하는 방법)
: 단일 colony의 분리가 목적. 둘 다 희석법을 사용
- 도말평판법(Spreading plate method) : 시료 중에 들어있는 생균수를 계측하는 방법이다. 굳은 고체배지 위에 미생물 시료를 넣고, 멸균된 유리 삼각봉(또는 일회용 플라스틱 삼각봉)으로 시료를 골고루 펴서, 배지에 흡착시킨다. 호기성 미생물세포는 배지표면에 자라며, 배양 후 하나의 군락은 시료 중에 들어있던 하나의 세포에 해당된다. 고온에서 작업하지 않으므로, 열에 약한 미생물 세포도 쉽게 계측할 수 있다.
- 평판획선배양법(Streaking plate method) : 다른 종류의 세포와 섞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리된 단일종의 세포를 얻기 위한 방법(균주 또는 배양액의 오염여부를 검사하는 편리한 방법)이다. 접종구에 미생물 균체를 묻혀서 고체배지 표면에 획선으로 여러 번 반복해서 선을 그을 경우에, 접종구로 획선을 그으면 그을수록, 처음 그은 부위에 비해서 나중에 그은 부위에는 보다 적은 수의 세포가 접종된다(희석효과). 그 결과 처음에 획선을 그은 부위에는 세포가 뭉쳐서 덩어리로 자라지만, 뒤에 획선을 그은 부위에는 세포들이 하나씩 떨어져서 자라게 된다. 하나의 세포가 충분히 자란 뒤에는 하나의 군락을 이룬다. 즉, 다른 군락과 떨어져서 자란 독립된 하나의 군락은 한 종류의 세포가모여서 이루어진 세포의 집합체로 간주할 수 있다. 고체배지 위에 획선을 긋는 방법은 다양하며, 기본 원리를 응용하여 주어진 상황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Ⅲ. 실험방법
▶ 실험 재료 및 시약, 실험장치
- 멸균된 페트리디쉬(샬레), TSA(Tryptic Soy Agar), 반응기, 클린벤치, 마이크로피펫, 액체균주, 스프레더(삼각봉), 루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