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중의 미생물계수
- 최초 등록일
- 2009.10.10
- 최종 저작일
- 2008.02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토양중의 미생물 계수법과 각종 토양미생물 배지분리결과.
목차
I.도입
1.희석평판법(dilution plate method)
①생균수의 산출
2.MPN method
※토양용액의 희석, 분산 과정에 따르는 제반 문제II.Refrence
배지조성
1)Saubouraud agar plate
2)glycerol yeast agar plate
3)Nutrient agar
5.결과& discussion
본문내용
I.도입
①토양현탁액을 배지상에 접종, 생육시켜 그 colony를 계수하는 희석평판법과 미생물 의 활성에 따른 반응을 보고 균수를 측정하는 최확치법(most probable number method = MPN법)이 이에 속하며, 생균수 측정법이라고도 한다.
②토양 중의 미생물을 염색하여 현미경을 가지고 직접 계수하는 방법으로서 이몰슬라 이드법, ratio법, 형광항체법, 토양절판법 등이 있으며 이들 방법은 염색된 균체의전 부를 계수하게 되므로 사균체까지도 계수하게 된다는 점에서 전 균수 측정법이라고 한다.
토양중의 미생물의 계수법으로는 희석평판법이나 혹은 MPN법이 널리 이용된다. 따라서 이 보고서에서는 희석평판법과 MPN 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희석평판법(dilution plate method)
토양 중의 생균수를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토양을 살균수로 희석하여 이것의 일정량을 plate에 접종한 후에 (파이펫으로 적정량 (0.1~1ml)을 접종한 뒤에 삼각유리막대봉을 이용하여 spreading하여 고체배지 전체에 골고루 퍼지도록 접종)그 위에 배지를 부어 배양한 후 출현하는 균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토양용액을 접종함에 있어서 반복수는 최소한 3 반복 이상이 바람직하다. 반복수가 2 반복 이하가 되면 반복간 오차가 큰 경우에 데이터의 취급에 문제가 생기므로 3 반복 이상을 접종하여 반복간 근사값을 나타내는 2 반복의 평균치를 그 토양의 균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조건은 세균과 방선균은 28 ℃에서 7∼14일간, 사상균의 25℃에서 3∼5일간이며 colony의 발현은 세균과 방선균 분리에 이용하는 egg albumin agar 배지조건에서 세균보다 방선균의 출현이 늦은 경향이므로 세균과 방선균을 동시에 계수하기 위해서는 접종 후 7일 이후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상균의 경우는 계수시기가 늦어지면 생육이 빠른 생육이 빠른 균종에 의해 생육이 늦은 균종의 colony가 덮혀 계수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접종 후 3일간 1차 조사하고, 생육이 늦은 균주의 발현을 고려하여 5일 이상 재차 조사하는 것이 좋다.
참고 자료
1.최신 환경미생물학 실험법(토양미생물의 배양법); 이장훈 외 ; 동화기술교역
2.http://nongae.gsnu.ac.kr/
1)http://www.sanger.ac.uk/Projects/S_coelicolor/
2)http://www.nih.go.jp/saj/Atlas/
(미, 국립보건원-digital atlas of actinomycetes)
3)http://botit.botany.wisc.edu/
(university of wisconsin-the virtual foliage hom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