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INUM
PLATINUM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자료(요약)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자료(요약) A+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8.11.26 최종저작일 2018.09
20P 미리보기
성인간호학 실습 자료(요약) A+자료
  • 미리보기

    소개

    "성인간호학 실습 자료(요약) A+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담관암(Cholangiocarcinoma)
    2. 췌장암(Pancreatic cancer)
    3. 담낭암(Gallbladder Cancer)
    4.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
    5. 위 유문보존 췌십이지장절제술 (Pylorus preserving pancreatoduodenectomy, PPPD)
    6. 췌두부십이지장절제술(Whipple’s operation)
    7.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 절제술(Laparoscopic cholecystectomy, LSC)
    8. 저위전방절제술(Low anterior resection, LAR), 전방절제술(Anterior resection, AR)
    9.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10.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11. 결장내시경검사(Colonoscopy)
    12. Colon Polypectomy
    13. 수술 후 폐합병증 예방
    14. 복부 수술 후 투여하는 일반적인 약
    15. 주의사항

    참고문헌

    본문내용

    1.담관암(Cholangiocarcinoma)
    1)원인
    간외담관암은 남자에 많고 50대에서 70대 연령층에 많다. 원인적 요소 또는 연관질환으로는 담관결석, 간흡충증, 담관낭종, 장티푸스균 보균자, 궤양성 대장염, 선천성 간섬유화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들 요소 중 한국에서 빈발하는 것이 많아서인지 서양보다는 한국에 다소 빈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2)병태생리
    병변의 위치에 따라 근위부암, 중부암, 원위부암으로 분류한다.
    발생빈도는 근위부암이 40~50%로 가장 많고 중부와 원위부가 각각 20~25%를 차지하며 5~10%는 미만성으로 광범위 침윤을 하여 원발 부위를 알기 어렵다.
    ※Bismuth-Corlette Classification
    근위부암은 비스무스 분류에 따르면 다시 근위부 침습 범위와 방향에 따라 Type Ⅰ(총간관 침습), Ⅱ(합류부 침습), Ⅲa(우측간 구역합류부 침습), Ⅲb(좌측간 구역합류부 침습), Ⅳ(양측 구역합류부 침습)로 분류한다.
    조직학적으로는 대부분이 선암이며 육안적으로는 경화형(침윤형)이 가장 많고, 유두형, 결절형과 각각의 침윤형 또한 적지 않다. 종양은 주로 국소침습을 하여 담관벽의 여러 층을 따라 원위부와 근위부로 전파되며 정상 담관벽이 매우 얇기 때문에 담관벽을 뚫고 침윤하여 주위에 바로 인접해 있는 간이나 췌장실질로의 침습이 쉽게 일어난다.
    국소 영역 림프절 전이도 간십이지장인대 주위, 췌두부주위, 복강동맥 및 상부장간막동맥 림프절을 거쳐 대동맥주위로 전파된다. 원격전이는 상당히 진행된 경우에도 드물다.

    3)증상
    담관암의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어렵다. 비특이적 증상으로는 체중감소, 피로감, 오심, 구토, 우상복부나 명치 아랫부분인 심와부에 통증이 있으며 간혹 십이지장이나 대장의 폐색(막힘)이 동반될 수 있다.
    담관암이 서서히 진행되면 종양이 담관에서 십이지장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막게 되어 담즙의 흐름이 차단되고 혈액 내 빌리루빈의 수치가 높아져 담관폐쇄로 인한 황달이 생기게 된다. 담관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황달이며 그에 동반된 전신소양감, 적색뇨 등이 나타난다.

    참고자료

    · Bile Duct Cancer (Cholangiocarcinoma), America cancer society, 2014
    · Boutros C, Gary M, Baldwin K, Somasundar P. Gallbladder cancer: past, present and an uncertain future. Surg Oncol 2012;21: e183-e191.
    · Lazcano-Ponce EC, Miquel JF, Muñoz N, et al. Epidemiology and Molecular pathology of gallbladder cancer. CA Cancer J Clin 2001;51: 349-364.
    · Suzuki H, Wada S, Araki K, et al. Xanthogranulomatous cholecystitis: difficulty in differentiating from gallbladder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15;21: 10166-10173.
    · Takuma K, Kamisawa T, Tabata T, et al. Importance of early diagnosis of pancreaticobiliary maljunction without biliary dilation. World J Gastroenterol 2012;18: 3409-3414.
    · Li Y, Zhang J, Ma H. Chronic inflammation and gallbladder cancer. Cancer Lett 2014;345: 242-248.
    · Strom BL, Soloway RD, Rios-Dalenz JL, et al. Risk factors for gallbladder cancer.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case-control study. Cancer 1995;76: 1747-1756.
    · Henley SJ, Weir HK, Jim MA, Watson M, Richardson LC. Gallbladder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United States 1999-2011.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15;24: 1319-1326.
    · Hundal R, Shaffer EA. Gallbladder cancer: epidemiology and outcome. Clin Epidemiol 2014;6: 99-109.
    · Sheth S, Bedford A, Chopra S. Primary gallbladder cancer: recognition of risk factors and the role of prophylactic cholecystectomy. Am J Gastroenterol 2000;95: 1402-1410.
    · Yeon Suk Kim,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of Gallbladder Cancer,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18;23(1):7-14.
    · Mi-Suk Park, Radiologic Evaluation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Gallbladder Cancer,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18;23(1):15-19.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46475&cid=60406&categoryId=60406#TABLE_OF_CONTENT10(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담낭암, 2018.09.16.)
    · 김금순,윤은자,김숙영,김옥숙,소향숙,이명선 등(2017).성인간호학Ⅰ.파주:수문사.
    · https://newsnetwork.mayoclinic.org/discussion/living-with-cancer-understanding-pancreatic-cancer/(2018.09.16.)
    · http://www.kancer.rs/simptomi-tumora-pankreasa/(2018.09.16.)
    · http://cancer.go.kr/mbs/cancer/jsp/cancer/cancer.jsp?cancerSeq=3365&menuSeq=3381&viewType=all&id=(2018.09.16.)
    · http://www.kcch.re.kr/dept/main/index.do?DP_CODE=C005&MENU_ID=002011(2018.09.16.)
    · http://www.surgiconsent.com/low-anterior-resection.html(2018.09.16.)
    · http://www.gastrosurgery.co.uk/anterior-resection-surgery-london/(2018.09.16.)
    · https://businessmirror.com.ph/understanding-colonoscopy/(2018.09.16.)
    · https://www.druginfo.co.kr/(2018.09.17.)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