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지만들기
- 최초 등록일
- 2018.08.24
- 최종 저작일
- 2017.03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배지만들기
1. 실험제목
2. 실험일시
3. 실험이론
4. 실험기구 및 재료
5. 실험방법
6. 참고문헌
Ⅱ. 공중낙하균 측정하기
1. 실험제목
2. 실험일시
3. 실험이론
4. 준비물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8. 참고문헌
Ⅲ. 우리주변의 미생물
1. 실험제목
2. 실험일시
3. 실험이론
4. 준비물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제목 : 배지만들기
2. 실험일시 : 4월13일 (목) 온도 18℃, 습도 46%
3. 실험이론 : 미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필수적인 요소가 있는데, 온도, PH, 삼투압, 호·혐기, 영양분 등이 잇다. 따라서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미생물을 배양하고자 할 때는 이 조건들을 다 갖추어주어야 하는데 영양분을 제공해 주는 것이 바로 배지이다. 배지라는 것은 미생물 배양을 위해서 만드는 것이다. 배지를 만들고 그 위에 도말을 함으로써 도말방법도 익힐 수 있는 실험이다. 미생물이 자라려면 먹이가 필ㅇ한데 배지가 바로 그런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말이라는 것도 먹이에 균체를 깔아 줌으로써 먹고 자랄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간단한 원리를 알고 실험에 임하면 좋겠다.
배지는 이용되는 재료, 사용 형태,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분류 할 수 있다. 재료에 따라 분 류된 배지의 종류를 간단히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중 략>
1. 실험제목 : 공중낙하균 측정하기
2. 실험일시 : 4월13일 (목) 온도 18℃, 습도 46%
3. 실험이론 : 대기 중에는 여러 가지 미생물이 먼지와 함께 부유하고 있다. 이러한 먼지와 미생물은 물이나 환경에 오염을 일으키고 그 미생물이 병원체일 경우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진균의 종류 및 그 수치를 측정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대기 외 오염을 알 수 있으며, 대기 중에서 존재하는 미생물이 어떠한 미생물의 분포를 이루는지 알 수 있는 것입니다. 미생물을 측정하는 방법 중에서 지면으로 낙하하는 미생물을 계수하는 방법은 그 실험방법이 간단하고 측정이 쉽기 때문에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미생물을 측정하는 방법 중 쉬운 공중낙하균 측정을 통해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대기 중에 어떤 미생물이 살고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참고 자료
식품미생물학실험서, 안병용,김동한,김인규,김주영 공저, 석학당 2003년
최신환경미생물학, 송홍규,오계헌 편저, 동화기술 1994년
최신미생물학, 박성기외 5명, 신광문화사
미생물학 실험 <기초와 응용>, 월드사이언스
미생물학 실험서 김종협 외 2명, 대광문화사
최신 미생물학 박석기 외 5명, 신광문화사
미생물의 생물학 Brock, Madigan, Prentice-Hall
품 미생물학 실험서(도서출판 효일) - pg46 ~ pg47
http://blog.naver.com/juny3434?Redirect=Log&logNo=50 032890703
http://www.sciencephoto.com/media/10879/view
http://www.jic.ac.uk/SCIENCE/molmicro/Azot.html
http://en.wikipedia.org/wiki/Staphylococcus_aure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