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및 분자생물학 실험 보고서 _배지만들기, 세균염색
- 최초 등록일
- 2020.09.16
- 최종 저작일
- 2018.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미생물 및 분자생물학 실험 보고서 _배지만들기, 세균염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원리
1) 배지만들기
2) 단순염색, 그람염색
2.실험결과
1) 배지만들기
2) 단순염색, 그람염색
3. 고찰
1) 배지 만들기
2) 단순염색, 그람염색
본문내용
1. 실험원리
1) 배지만들기
배지란 미생물을 생육, 번식시키기 위한 장소로 물,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등의 물질로 구성되어있다. 백금이를 이용해서 배지에 균을 도말하고 배양하면균이 콜로니를 형성한 것을 볼 수 있다. 도말 시작점에서 끝으로 갈수록 균의 농도가 감소해서 콜로니가 떨어져 있게 된다. 콜로니는 세균이 집단을 형성한 것으로 하나의 콜로니에는 동일한 유전형질을 지닌 세포들이 모여있게 된다.
2) 단순염색, 그람염색
① 염색원리
세균을 관찰할 때 주변과 세균이 쉽게 구별하기 위해서 염색을 하게 된다.
세균은 pH 7에서 전체적으로 음전하를 띄고 있기 때문에 메틸렌블루, 사프라닌, 크리스탈바이올렛과 같은 양이온 염료를 사용하게 되면 세균을 직접 염색하게 되고 에오신과 같은 음이온 염료를 사용하게 되면 배경을 염색시켜서 세균이 더 잘 보일 수 있게 한다.
② 염색법
- 단순염색이란 한 가지의 염색약을 사용하여 염색하고 관찰하는 방법이다.
- 그람염색은 그람음성균과 그람양성균의 차이를 이용해서 염색하는 방법이다.
그람 양성균은 펩티도글리칸 층이 두꺼워서 탈색제에 의해 첫 번째 염색액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그람음성균의 경우 펩티도글리칸 층이 얇아 첫 번째 염색액이 쉽게 빠지게 되고 2번째 염색액으로 염색된다.
- 그람 양성균에는 Bacillus속, cocci 속 등이 있고,
그람양성균에는 E.coli, Samonella, Helicobacter 등 병원성 균이 속한다.
③ 현미경
현미경의 경우 명시야 현미경과 암시야 현미경이 있다.
명시야 현미경의 경우 밝은 배경에서 물체를 관찰하게 되고 빛은 투명물체를 투과하게 된다.
암시야 현미경의 경우 주변은 어둡게 보이고 시료만 밝게 보인다. 이 현미경은 시료로부터 산란된 빛이 렌즈로 들어가게 된다.
참고 자료
Laboratory Manual of Experimental Microbiology, Atlas 외 2인, Mosby,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