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우리나라의 관계
- 최초 등록일
- 2018.05.28
- 최종 저작일
- 2017.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과거와 현재에 있어 중국과 한국의 갈등 원인
2. 우리의 현재와 미래에 있어 중국의 영향력
1) 보복 철회 이후 중국과 우리나라의 관계
3. 중국과의 관계에 있어 우리나라가 취해야 할 자세
4. 중국의 미래
본문내용
동아시아에 위치한 중국과 일본, 우리나라는 한자와 유교, 여러 음식 문화 등 많은 면에서 유사점을 공유하면서도 각자 독립된 국가로서 그 정체성을 유지해왔다. 특히 중국은 오랜 역사에 걸쳐 한반도의 정치와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중국과의 관계는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이슈이다. 이에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관계를 진단해봄으로써 앞으로의 우리의 삶과 현실을 바르게 인식해보고자 한다.
1. 과거와 현재에 있어 중국과 한국의 갈등 원인
역사적으로 중국과 한국은 위치 상 교류가 활발했던 만큼 분쟁 또한 잦았는데, 그 갈등의 형태 또한 복잡하고 다양하다. 삼국시대 당시 고구려와 당나라는 25년 동안 끈질긴 전쟁을 벌였고, 발해 역시 요나라와의 치열한 분쟁을 겪었다. 여당 전쟁의 끝은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으로 인한 삼국의 통일이었지만, 이후의 중국과 한반도의 갈등양상은 주종관계를 보이게 된다. 고려시대의 원나라의 지배와 조선시대의 청나라 지배를 겪으며 한반도는 수많은 문화와 정치 형태에서 중국의 압박을 받게 되었다.
참고 자료
문유근, ‘사드 3불 원칙’ 이행 압박하는 중국의 횡포‘, 매일경제,
<http://news.mk.co.kr/v2/economy/view.php?year=2017&no=801812>, 2017.12.04.
황민규 기자, 조선일보, ‘가격 15% 높여도 불티나게 팔리는 D램…삼성·SK하이닉스, 3분기 최대 실적’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10/2017101001894.html> , 2017.10,10
스티그 스텐슬리, 마르테 셰르 갈퉁, 오수원 옮김, 『49가지 단서로 예측한 중국의 미래』, 부·키